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8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45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387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2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62 

    ‘수놈’과 ‘숫놈’

  6.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69 

    딱 그 한마디

  7.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097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37 

    대명사의 탈출

  10.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42 

    치욕의 언어

  11.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5 

    배뱅잇굿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54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190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4.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93 

    비판과 막말

  15.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201 

    뒷담화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25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29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41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43 

    귀순과 의거

  20.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56 

    편한 마음으로

  21.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61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78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81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300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00 

    내색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