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2 06:05

여보세요?

조회 수 10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보세요?

 휴대전화는 예전엔 안 하던 고민을 하게 만든다. 유선전화는 누구 전화인지 알고 싶으면 무조건 받아야 했다. 하지만 휴대전화는 액정화면에 ‘아는 사람’과 ‘모르는 번호’를 또렷이 구분해 보여준다. 모르는 번호면, 모르는 사람일 텐데…. 받을까 말까 망설이게 된다. 대부분 보험 가입을 권하는 광고전화. 목화솜이불을 닮은 나는 전화를 끊지 못해 계속 들어주다 미안함만 쌓인다.

그렇긴 하지만, 모르는 번호로 걸려 온 전화가 광고전화라는 걸 언제 아는가? 생각보다 빠르다. 딱 첫마디! 두번째도 아닌 첫번째. 당신도 마찬가지일 테지. 광고전화는 “여보세요?”라는 말에 “반갑습니다, 고객님!”, “안녕하세요, ○○○ 고객님 맞으신가요?”라고 말한다. 처음 통화하는 사람이 주고받으며 채워나가는 대화의 쌍을 완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고전화라는 걸 쉽게 들킨다.

우리는 전화를 받으면 “여보세요?”라고 말한다. 그러면 상대방도 십중팔구 “여보세요?”라고 대답한다. 첫마디가 뭐냐에 따라 내 답이 달라진다. 전화받는 사람이 “네, ○○부 홍길동입니다”라고 말하면 나도 “네, 저는 누구누구입니다”라고 말하게 된다. 자기 이름만 말했지만, 나도 내 이름을 밝히게 된다. 자기 이름을 밝히는 건 전화 건 사람도 이름을 밝혀달라는 메시지이다. 전화받는 사람이 “네, ○○부입니다”라고만 말하면, 나도 내가 누구인지 밝히고 싶지 않다.

비록 전화를 통해서지만, 우리는 대화를 하지 대본을 읽는 게 아니다. 말의 질서는 무척 섬세하고 교묘하다. 빈자리를 귀신같이 알아차린다. 우리의 대화는 암묵적이면서도 명시적이다. 아는 형이 전화해 “저녁에 뭐 해?”라고 묻는다면 이유는 뻔하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46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097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812 

    또 다른 이름

  5.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815 

    선교와 압박

  6.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817 

    '미망인'이란 말

  7.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833 

    언어 경찰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851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867 

    딱 그 한마디

  10.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895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1.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911 

    편한 마음으로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912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3.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919 

    치욕의 언어

  14.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934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15.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9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6.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955 

    배뱅잇굿

  17.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959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8.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965 

    귀순과 의거

  19.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971 

    대명사의 탈출

  20.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971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1.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978 

    비판과 막말

  22.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986 

    외국어 선택하기

  23.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994 

    막냇동생

  24.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002 

    편견의 어휘

  25. No Image 20Dec
    by 風文
    2023/12/20 by 風文
    Views 1006 

    어떤 반성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