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6 09:55

쓰봉

조회 수 14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쓰봉

권대웅의 시 ‘쓰봉 속 십만 원’은 ‘벗어놓은 쓰봉 속주머니에 십만 원이 있다’로 시작한다. 갑자기 입원을 하게 된 노모가 집에 두고 온 당신의 전 재산을 자식들이 모르고 지나칠까 봐 일러주는 말이다.

‘쓰봉’은 바지를 뜻하는 일본말로 일제 시대에 들어와 1970년대까지 널리 쓰였다. 국어순화 운동에 힘입어 ‘와리바시(나무젓가락), 벤또(도시락), 다마네기(양파)’ 등과 함께 이제는 우리말에서 사라져버린 말이다. 중장년 세대는 대부분 알고 있는 말이지만 젊은이들에게 ‘쓰봉’은 낯선 말이다.

그런데 최근에 젊은 주부들이 ‘쓰봉’이란 말을 쓰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미 사라져버린 말이, 그것도 어렵게 쫓아낸 일본어 외래어가 다시 들어와 사용되고 있다니 놀랄 일이었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것은 바지와는 전혀 상관없는, ‘쓰레기봉투’를 줄여 이르는 새말이었다. ‘생일선물’을 ‘생선’으로 ‘생일파티’는 ‘생파’로 줄이는 등, 빠른 소통을 위해 가능하면 줄여 쓰는 젊은이들의 언어 습관이 새롭게 ‘쓰봉’을 탄생시킨 거였다.

이쯤 되니 재미난 상상이 떠올랐다. 위의 시에서 어머니가 손주들에게 ‘쓰봉 속 십만 원’ 얘기를 했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손주들은 안방에 벗어놓은 할머니 바지를 뒤지는 대신 부엌에서 쓰레기봉투를 뒤집어 보며 할머니가 두고 가신 돈을 찾고 있었을 것이다.

말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세대 간 언어 차이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또한 줄임말은 언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게 하고, 그 말을 아는 사람들끼리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줄여 쓰기를 통해 무분별하게 만들어내는 새말은 세대 간 불통을 부추길 수도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6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3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96
3304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513
3303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514
3302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15
3301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515
3300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516
329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516
3298 지슬 風文 2020.04.29 1519
3297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19
3296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521
329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521
329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521
329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522
3292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522
3291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523
329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24
328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526
3288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526
3287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527
328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28
3285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28
3284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528
328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