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18

조의금 봉투

조회 수 9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의금 봉투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나 ‘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와 ‘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5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098
338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335
3387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711
3386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745
338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017
3384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026
3383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481
3382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15
3381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269
3380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073
3379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6935
3378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22
3377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173
337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7970
337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598
3374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278
337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754
337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879
3371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285
3370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33
3369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046
3368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259
3367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3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