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18

조의금 봉투

조회 수 13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의금 봉투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나 ‘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와 ‘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64
158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1
157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11
15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310
155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9
154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9
153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7
152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06
151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306
150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306
149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05
148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305
»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05
146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304
145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303
144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02
143 까치발 風文 2023.11.20 1302
142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301
14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300
14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99
13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99
138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96
137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