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18

조의금 봉투

조회 수 14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의금 봉투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나 ‘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와 ‘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63
3282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534
3281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34
3280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35
3279 상석 風文 2023.12.05 1537
327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540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41
327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41
3275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542
3274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42
3273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543
3272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45
327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46
327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48
3269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49
3268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50
3267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51
32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52
3265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54
326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58
3263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59
326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560
3261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