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3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45
24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32
245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432
24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31
243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30
242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9
241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27
24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27
239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26
238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24
23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23
236 ‘~스런’ 風文 2023.12.29 1422
23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20
234 ○○노조 風文 2022.12.26 1420
23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9
23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13
23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13
230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12
229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11
228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10
227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10
22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09
22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