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5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491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149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6202
    read more
  4.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Date2022.07.24 By風文 Views1658
    Read More
  5. 반동과 리액션

    Date2023.11.25 By風文 Views1658
    Read More
  6.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Date2022.08.06 By風文 Views1659
    Read More
  7. 외부인과 내부인

    Date2021.10.31 By風文 Views1661
    Read More
  8. 말로 하는 정치

    Date2022.01.21 By風文 Views1664
    Read More
  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Date2022.10.17 By風文 Views1665
    Read More
  10. 기림비 2 / 오른쪽

    Date2020.06.02 By風文 Views1667
    Read More
  11. 자백과 고백

    Date2022.01.12 By風文 Views1667
    Read More
  12. 태극 전사들

    Date2022.01.29 By風文 Views1667
    Read More
  13. 정치인의 애칭

    Date2022.02.08 By風文 Views1667
    Read More
  1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Date2023.05.24 By風文 Views1668
    Read More
  15. 일타강사, ‘일’의 의미

    Date2022.09.04 By風文 Views1673
    Read More
  16. 위탁모, 땅거미

    Date2020.05.07 By風文 Views1674
    Read More
  17.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Date2022.08.12 By風文 Views1677
    Read More
  18. 이름 짓기, ‘쌔우다’

    Date2022.10.24 By風文 Views1678
    Read More
  19.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680
    Read More
  20. 되묻기도 답변?

    Date2022.02.11 By風文 Views1681
    Read More
  21. 쌤, 일부러 틀린 말

    Date2022.07.01 By風文 Views1681
    Read More
  22. 남과 북의 협력

    Date2022.04.28 By風文 Views1682
    Read More
  2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686
    Read More
  24. 수능 국어영역

    Date2023.06.19 By風文 Views1686
    Read More
  25. 방언의 힘

    Date2021.11.02 By風文 Views168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