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09 16:54

산막이 옛길

조회 수 15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산막이 옛길

내 고향은 충북 괴산으로, 수려한 자연 경관을 빼곤 딱히 더 내세울 게 없는 곳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화양계곡, 선유동계곡, 쌍곡계곡 등이 여름휴가 장소로 이름을 얻기 시작하면서 여름철엔 외지인으로 북적북적해졌다. 얼마 전부터는 ‘산막이 옛길’을 찾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산막이 옛길’은 산막이 마을로 가는 총 10리의 옛길을 이르는데, 괴산군에서 자연을 즐기며 천천히 걸을 수 있도록 복원해 놓은 산책길이다.

산책길로는 제주도의 ‘올레길’, 지리산의 ‘둘레길’, 제천의 ‘자드락길’, 강릉의 ‘바우길’ 등이 유명하다. 최근 올레길, 둘레길, 자드락길, 바우길 등으로 산책을 떠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그렇다 보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특색 있는 산책길을 개발하여 관광 상품화하고 있다.

그런데 산책길의 이름 대부분은 고유어나 그 지역의 방언으로 이름 붙여져 있다. ‘둘레길’의 ‘둘레’는 ‘사물의 테두리나 바깥 언저리’를 뜻하는 고유어이고, ‘자드락길’의 ‘자드락’은 ‘나지막한 산기슭의 비탈진 땅’을 뜻하는 고유어이다. 반면 ‘올레길’의 ‘올레’는 ‘골목’의 제주도 방언이고, ‘바우길’의 ‘바우’는 ‘바위’의 강원도 방언이다. ‘산막이 옛길’의 ‘산막이’는 ‘산(이) 막다’에서 파생된 말이므로 고유어로 볼 수 있다.

산책길의 이름으로 고유어나 방언이 활용되는 건 아이러니한 현상이다. 상품, 가게, 아파트 등의 이름 짓기에서는 외래어나 외국어가 더 널리 활용되기 때문이다. 많은 산책길이 특정 지역의 관광 명소로 개발된 데 말미암은 것이리라!

여하튼 고유어가 제한적이나마 대접을 받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국어로 밥벌이를 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런 현상이 좀 더 확대될 수 있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58
4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355
47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344
46 옹알이 風文 2021.09.03 1343
45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342
4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1339
43 내색 風文 2023.11.24 1335
42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1314
41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313
40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298
39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292
38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289
37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273
3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1265
35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1264
3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1224
33 뒷담화 風文 2020.05.03 1212
32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207
31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1181
30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163
29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160
28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51
2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1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