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09 16:54

산막이 옛길

조회 수 14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산막이 옛길

내 고향은 충북 괴산으로, 수려한 자연 경관을 빼곤 딱히 더 내세울 게 없는 곳이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화양계곡, 선유동계곡, 쌍곡계곡 등이 여름휴가 장소로 이름을 얻기 시작하면서 여름철엔 외지인으로 북적북적해졌다. 얼마 전부터는 ‘산막이 옛길’을 찾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산막이 옛길’은 산막이 마을로 가는 총 10리의 옛길을 이르는데, 괴산군에서 자연을 즐기며 천천히 걸을 수 있도록 복원해 놓은 산책길이다.

산책길로는 제주도의 ‘올레길’, 지리산의 ‘둘레길’, 제천의 ‘자드락길’, 강릉의 ‘바우길’ 등이 유명하다. 최근 올레길, 둘레길, 자드락길, 바우길 등으로 산책을 떠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그렇다 보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특색 있는 산책길을 개발하여 관광 상품화하고 있다.

그런데 산책길의 이름 대부분은 고유어나 그 지역의 방언으로 이름 붙여져 있다. ‘둘레길’의 ‘둘레’는 ‘사물의 테두리나 바깥 언저리’를 뜻하는 고유어이고, ‘자드락길’의 ‘자드락’은 ‘나지막한 산기슭의 비탈진 땅’을 뜻하는 고유어이다. 반면 ‘올레길’의 ‘올레’는 ‘골목’의 제주도 방언이고, ‘바우길’의 ‘바우’는 ‘바위’의 강원도 방언이다. ‘산막이 옛길’의 ‘산막이’는 ‘산(이) 막다’에서 파생된 말이므로 고유어로 볼 수 있다.

산책길의 이름으로 고유어나 방언이 활용되는 건 아이러니한 현상이다. 상품, 가게, 아파트 등의 이름 짓기에서는 외래어나 외국어가 더 널리 활용되기 때문이다. 많은 산책길이 특정 지역의 관광 명소로 개발된 데 말미암은 것이리라!

여하튼 고유어가 제한적이나마 대접을 받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국어로 밥벌이를 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이런 현상이 좀 더 확대될 수 있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36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376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2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7 

    ‘수놈’과 ‘숫놈’

  6.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61 

    딱 그 한마디

  7.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095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32 

    대명사의 탈출

  10.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37 

    치욕의 언어

  11.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5 

    배뱅잇굿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50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186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4.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93 

    비판과 막말

  15.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196 

    뒷담화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25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29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3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43 

    귀순과 의거

  20.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56 

    편한 마음으로

  21.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6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74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79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295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00 

    내색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