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부인’이 돼 달라고?

‘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되는 여자’, 즉 ‘아내’를 이르는 말에는 ‘안사람, 집사람, 처, 마누라, 부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가리키는 대상은 같지만 쓰임새가 조금씩 다르다.

‘아내’는 특별히 낮추거나 높이는 뜻이 없어 가장 편하게 쓸 수 있는 말이다. ‘처’는 20여년 전만 해도 흔히 쓰는 말이었지만 오늘날 젊은이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팔순이 넘은 어느 노교수님 말씀에 따르면 이미 1960년대에도 ‘처’는 ‘머리를 쪽 찌고 치마저고리 입은’ 구식 아내를 연상케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자신의 아내를 ‘제 처’라고 하는 사람들에게서는 점잖고 예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진다.

‘안사람, 집사람’은 아내를 남 앞에서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지만 아내의 역할이나 활동 공간을 집안에만 한정하는 듯하여 마땅찮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마누라’는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적어도 중년 이상의 아내에게만 쓸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에는 상대를 약간 낮잡는 느낌이 있다. 연세가 지긋한 분들이 자기 아내를 허물없이 가리킬 때 ‘마누라’를 흔히 쓴다. 이 말은 어떤 상황에서 쓰느냐에 따라 정답게 들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아내를 함부로 대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가려 쓰는 게 좋겠다. 오랜 세월을 함께한 나이든 아내를 함부로 대했다간 노후가 편치 않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이므로 자기 아내에 대해서는 쓰지 않는다. 우리말에서는 나와 가까운 사람을 남 앞에서 높이지 않는 것이 올바른 언어 예절이다. 아내를 존중해 주는 것은 좋지만 ‘우리 부인’ ‘내 부인’ 등으로 쓰는 것은 잘못이다. ‘청혼가’라는 가요의 노랫말에 ‘네가 나의 부인이 돼줬으면 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때 ‘나의 부인’도 ‘나의 아내’로 해야 맞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77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018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096 

    가짜와 인공

  5. No Image 06Dec
    by 風文
    2023/12/06 by 風文
    Views 1323 

    '넓다'와 '밟다'

  6.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314 

    드라이브 스루

  7.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131 

    상석

  8. No Image 27Nov
    by 風文
    2023/11/27 by 風文
    Views 1628 

    흰 백일홍?

  9. No Image 25Nov
    by 風文
    2023/11/25 by 風文
    Views 1275 

    '마징가 Z'와 'DMZ'

  10. No Image 25Nov
    by 風文
    2023/11/25 by 風文
    Views 1222 

    반동과 리액션

  11.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95 

    ‘개덥다’고?

  12.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008 

    내색

  13. No Image 22Nov
    by 風文
    2023/11/22 by 風文
    Views 1201 

    '밖에'의 띄어쓰기

  14. No Image 22Nov
    by 風文
    2023/11/22 by 風文
    Views 1091 

    몰래 요동치는 말

  15. No Image 21Nov
    by 風文
    2023/11/21 by 風文
    Views 1114 

    군색한, 궁색한

  16. No Image 21Nov
    by 風文
    2023/11/21 by 風文
    Views 1255 

    주현씨가 말했다

  17. No Image 20Nov
    by 風文
    2023/11/20 by 風文
    Views 1230 

    ‘가오’와 ‘간지’

  18. No Image 20Nov
    by 風文
    2023/11/20 by 風文
    Views 1213 

    까치발

  19.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121 

    쓰봉

  20.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021 

    부사, 문득

  21.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199 

    저리다 / 절이다

  22.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249 

    붓다 / 붇다

  23.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310 

    후텁지근한

  24. No Image 15Nov
    by 風文
    2023/11/15 by 風文
    Views 1200 

    조의금 봉투

  25. No Image 14Nov
    by 風文
    2023/11/14 by 風文
    Views 1283 

    본정통(本町通)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