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용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습니다.

특히 한 글자의 모음 차이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될 때는 더욱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미로 활용되는 ‘-데’, 와‘-대’의 사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데’는 ‘-더라’와 쓰임이 비슷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상황 1]

-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대).

-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

-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대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대’는 ‘-다고 해’의 줄임말로도 사용합니다.

‘-대’에는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는 의미를 잘 외워 두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황 2]

- 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데/대)?

- 왜 이렇게 일이 많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75
3304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87
3303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76
330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615
3301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02
33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763
3299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86
3298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158
329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44
3296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79
3295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476
3294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628
3293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265
329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59
3291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65
3290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331
3289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648
328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92
3287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220
3286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278
3285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702
328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90
3283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6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