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용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습니다.

특히 한 글자의 모음 차이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될 때는 더욱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미로 활용되는 ‘-데’, 와‘-대’의 사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데’는 ‘-더라’와 쓰임이 비슷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상황 1]

-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대).

-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

-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대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대’는 ‘-다고 해’의 줄임말로도 사용합니다.

‘-대’에는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는 의미를 잘 외워 두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황 2]

- 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데/대)?

- 왜 이렇게 일이 많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82
3106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570
3105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70
310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571
3103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571
310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72
310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577
310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579
3099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581
3098 존맛 風文 2023.06.28 1581
3097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85
3096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86
3095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587
3094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589
3093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595
3092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599
309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604
3090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608
3089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611
3088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617
3087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21
3086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22
3085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6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