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용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습니다.

특히 한 글자의 모음 차이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될 때는 더욱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미로 활용되는 ‘-데’, 와‘-대’의 사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데’는 ‘-더라’와 쓰임이 비슷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상황 1]

-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대).

-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

-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대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대’는 ‘-다고 해’의 줄임말로도 사용합니다.

‘-대’에는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는 의미를 잘 외워 두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황 2]

- 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데/대)?

- 왜 이렇게 일이 많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97
158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62
157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22
156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20
155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86
154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540
15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88
152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452
151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54
150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11
14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45
148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4
147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57
1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72
145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64
144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52
143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80
142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85
141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93
14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26
139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46
138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779
13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