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8 06:20

돼지껍데기

조회 수 13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돼지껍데기

콜라겐이 많아서 피부에 좋다는 소문이 나서인지 여자 연예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돼지껍질이 자주 꼽힌다. 마오쩌둥도 즐겨 먹었다는 돼지껍질. 고소하고 쫀득한 맛이 일품이다. 그런데 ‘돼지껍질’ 대신에 ‘돼지껍데기’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는 듯하다. ‘껍질’과 ‘껍데기’는 구별되어 쓰이기도 하고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해서 헷갈릴 때가 많다.

사과, 귤, 양파 같은 과일, 채소 등의 단단하지 않은 외피를 ‘껍질’이라고 한다. 껍질은 주로 까거나 벗기는 것이 많다. 그렇다면 수박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를 말한다. 따라서 수박은 껍질이 맞다. 새우도 껍질이다.

‘껍데기’는 껍질보다 단단하다. 달걀, 조개, 소라 등을 싸고 있는 것은 껍데기이다. 그렇다면 윤형주의 노래 ‘조개껍질 묶어’ 가사는 틀린 것일까?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은 두 형태가 널리 쓰여 복수표준어로 인정되었다.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수박을 먹고 나서 껍데기는 버려라”에서 ‘껍데기’는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이라는 뜻이다. 베개껍데기, 과자껍데기가 이와 같다. 달걀, 호두, 은행, 땅콩 등은 알맹이를 직접 싸고 있는 얇은 ‘껍질’과 이를 둘러싼 ‘껍데기’로 나눌 수 있다.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 잡을까”란 속담이 있다. 호랑이의 가죽을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 호랑이가 껍질이면 돼지도 껍질이 맞다. 문득 신동엽 시인의 시 ‘껍데기는 가라’가 떠오르는 건 너무 생뚱맞은가.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59
312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84
311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78
310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477
30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74
308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469
30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469
30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66
305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65
30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65
303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64
302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460
30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57
300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54
299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450
29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449
297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46
29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43
295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41
294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41
293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438
292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35
291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