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3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58
114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757
113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67
112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831
111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093
110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74
109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93
108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70
107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75
106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17
105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436
104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620
103 행여 바람의종 2008.03.28 7108
102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63
101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767
100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742
99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136
98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614
97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25
96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017
95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62
94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619
93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