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5 09:21

개양귀비

조회 수 15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양귀비

요즘 강변이나 공원에 나가보면 선홍빛으로 무리지어 핀 양귀비꽃을 쉽게 만난다. 절세미인 양귀비의 이름을 딴 꽃이라서 인지 바람에 하늘거리는 모습이 무척 아름답다. 그런데 이 꽃의 정확한 이름은 양귀비가 아니라 개양귀비다. 양귀비는 열매가 아편의 재료로 쓰이기 때문에 재배가 금지되어 있다.

우리말에는 개양귀비뿐 아니라 개나리, 개살구, 개연꽃 등 이름에 ‘개’가 붙어있는 식물이 많다. 접두사 ‘개’가 꽃이나 열매 이름에 붙을 때는 야생이거나, 짝이 되는 본래의 식물보다 질이 떨어지거나, 혹은 그와 비슷하지만 다른 것이라는 뜻이다. 개나리는 들에 저절로 피어나는 나리를 가리킨다. 개연꽃은 연꽃만큼 탐스러운 꽃을 피우지 못해서, 개살구는 새콤달콤한 살구와 달리 시고 떫은 맛이 나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오죽하면 ‘빛 좋은 개살구’란 말이 다 있을까.

어쨌거나 이름에 ‘개’가 들어가면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단 뜻이다. 개양귀비는 왜 그런 이름을 갖게 됐을까? 양귀비만큼 예쁘지가 않아서? 꽃의 크기나 모양에서 둘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개양귀비가 색깔이 더 곱고 아담해서 집 주변에 심어두고 보기엔 더 낫다. 다만 옛 사람들은 약재로서의 효능 때문에 양귀비를 소중히 여겼다. 약이 귀했던 시절에는 열매뿐 아니라 줄기까지도 복통 치료제로 요긴하게 쓰였다. 그에 비하면 개양귀비는 별 쓸모가 없으니 ‘개’가 붙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엔 양귀비 덕을 볼 일이 거의 없다. 금지 작물보다는 오히려 가까이에서 아름다운 꽃을 보게 해주는 개양귀비가 훨씬 소중하다. 그래선지 요즘엔 개양귀비 대신 꽃양귀비라고 부르는 이들이 늘고 있다. 같은 사물이라도 관점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16
334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578
33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576
332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74
331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572
330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565
329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63
328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61
327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58
326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557
325 단골 風文 2023.05.22 1557
324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55
323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54
322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53
32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50
320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47
319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45
318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43
317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536
31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536
315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34
314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534
313 너무 風文 2023.04.24 15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