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1 11:3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조회 수 11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댄싱 나인 시즌 스리

얼마 전 한 방송의 ‘댄싱9 시즌3’이 인기리에 막을 내렸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 제목을 ‘댄싱 나인 시즌 스리’로 읽는다. 숫자 ‘9’와 ‘3’을 ‘아홉’, ‘셋’이나 ‘구’ ‘삼’으로 읽지 않고 영어인 ‘나인’ ‘스리’로 읽는 것이다.

우리말에서는 아라비아 숫자 ‘1, 2, 3, 4’ 등이나 로마 숫자 ‘Ⅰ, Ⅱ, Ⅲ, Ⅳ’ 등은 고유어 수사로 읽거나 한자어 수사로 읽는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물건의 수효를 셀 때에는 ‘하나, 둘, 셋, 넷’ 등처럼 고유어 수사로 읽고, 그냥 숫자를 셀 때에는 고유어 수사로 읽거나 ‘일, 이, 삼, 사’ 등처럼 한자어 수사로 읽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아라비아 숫자나 로마 숫자를 영어식으로 읽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넘버1, 넘버2, 넘버3’ ‘슈퍼스타K1, 슈퍼스타K2, 슈퍼스타K3’ 등의 ‘1, 2, 3’ 등이 일반적으로 ‘원, 투, 스리’ 등으로 읽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숫자를 영어식으로 읽는 건 우리말의 자연스러운 숫자 읽기가 아니다. 혹, ‘넘버’ ‘슈퍼스타K’ 등이 영어 또는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라서 그 뒤 숫자를 영어식으로 읽는 게 더 자연스럽지 않냐 하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식샤를 합시다1, ‘식샤를 합시다2’의 ‘1, 2’도, ‘수학Ⅰ, 수학Ⅱ’ ‘물리Ⅰ, 물리Ⅱ’ 등의 ‘Ⅰ, Ⅱ’도 영어 ‘원, 투’로 읽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그렇게 볼 수 없다. 영어식 숫자 읽기의 남용에 불과하다.

수사는 한 언어에서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꼭 필요한 기초 어휘이다. 그런데 숫자 읽기에서 우리말의 기초 어휘인 수사가 영어에 밀려 홀대 받고 있다. ‘엠피스리(MP3)’ ‘스리디(3-D)’ 등은 별개의 단어라 어쩔 수 없다손 치더라도 그냥 숫자를 차례대로 셀 때에는 그 숫자를 우리말 수사로 읽는 것이 좋겠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92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51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486
    read more
  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Date2022.09.01 By風文 Views1218
    Read More
  5.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1218
    Read More
  6. 군색한, 궁색한

    Date2023.11.21 By風文 Views1216
    Read More
  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Date2022.06.26 By風文 Views1214
    Read More
  8.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1212
    Read More
  9.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Date2022.07.26 By風文 Views1210
    Read More
  10.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210
    Read More
  11.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209
    Read More
  12.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Date2022.06.07 By風文 Views1208
    Read More
  13.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207
    Read More
  14.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207
    Read More
  15.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205
    Read More
  16.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204
    Read More
  17.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Date2022.07.13 By風文 Views1204
    Read More
  18.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1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20.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Date2022.09.21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21.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200
    Read More
  22.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200
    Read More
  23.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Date2022.06.28 By風文 Views1198
    Read More
  24.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Date2022.06.08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19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