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나는 말이 하염없이 느리다. 사이버대학에 올린 내 강의 동영상을 보다가 곧장 게시판에 항복 문서를 올렸다. ‘가만히 듣다 보면 어느새 졸음이 밀려옵디다. 재생 속도를 1.25배로 하니, 졸음이 조금 늦게 오시더군요.’

‘보통’ 속도로 보는 건 손해다. 1.25배속으로 봐도 ‘줄거리 파악’에 아무 어려움이 없다. 출연자의 목소리가 가늘어지고 신경질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바쁜 시간을 알뜰하게 아껴 쓴다는 실용주의자의 자부심을 심어준다.

여기에 맛을 들이면서 영상예술에 대한 감각이 변질되더군. 내용과 형식이 분리될 수 있으며, 형식보다는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착각 말이다. 속도를 높일수록 우리 귀는 내용(메시지)만을 쫓는다. 조각난 작품을 읽고 재빨리 주제를 파악하는 걸로 국어 실력을 가늠하는 것처럼, 줄거리만 간추리면 영상을 다 본 것. 목소리나 말의 속도, 음색 같은 건 선물을 싼 포장지일 뿐.

우리는 줄거리, 핵심 내용, 주제를 뽑기 위해 영상을 보는 게 아니다. 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물질성, 질감, 현장성 같은 것에 녹아 들려고 본다. 우리가 예술에 다가가는 이유는 그 속에 낱낱의 고유한 삶의 형식들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느리고 어눌하고, 어떤 생각이 다른 생각을 간섭하고 뒤엉키는 그 머뭇거림의 형식 자체에 마음이 격동되기를 바라며. 형식에 대한 무시는 예술을 메마르게 한다. 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있는 허공과도 같은 빈틈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속도를 늘릴수록 우리는 말해지지 않은 것, 표현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에 더 근접해 있다는 걸 망각하게 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22
24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432
245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31
24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30
24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29
242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9
241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27
24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27
239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26
238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24
23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23
236 ‘~스런’ 風文 2023.12.29 1422
23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20
234 ○○노조 風文 2022.12.26 1420
23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9
23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13
23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13
230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11
229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10
228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10
227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09
22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08
225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