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나는 말이 하염없이 느리다. 사이버대학에 올린 내 강의 동영상을 보다가 곧장 게시판에 항복 문서를 올렸다. ‘가만히 듣다 보면 어느새 졸음이 밀려옵디다. 재생 속도를 1.25배로 하니, 졸음이 조금 늦게 오시더군요.’

‘보통’ 속도로 보는 건 손해다. 1.25배속으로 봐도 ‘줄거리 파악’에 아무 어려움이 없다. 출연자의 목소리가 가늘어지고 신경질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바쁜 시간을 알뜰하게 아껴 쓴다는 실용주의자의 자부심을 심어준다.

여기에 맛을 들이면서 영상예술에 대한 감각이 변질되더군. 내용과 형식이 분리될 수 있으며, 형식보다는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착각 말이다. 속도를 높일수록 우리 귀는 내용(메시지)만을 쫓는다. 조각난 작품을 읽고 재빨리 주제를 파악하는 걸로 국어 실력을 가늠하는 것처럼, 줄거리만 간추리면 영상을 다 본 것. 목소리나 말의 속도, 음색 같은 건 선물을 싼 포장지일 뿐.

우리는 줄거리, 핵심 내용, 주제를 뽑기 위해 영상을 보는 게 아니다. 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물질성, 질감, 현장성 같은 것에 녹아 들려고 본다. 우리가 예술에 다가가는 이유는 그 속에 낱낱의 고유한 삶의 형식들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느리고 어눌하고, 어떤 생각이 다른 생각을 간섭하고 뒤엉키는 그 머뭇거림의 형식 자체에 마음이 격동되기를 바라며. 형식에 대한 무시는 예술을 메마르게 한다. 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있는 허공과도 같은 빈틈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속도를 늘릴수록 우리는 말해지지 않은 것, 표현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에 더 근접해 있다는 걸 망각하게 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29
3216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12
321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12
321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12
321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415
3212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15
3211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15
3210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16
3209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17
3208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19
320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20
3206 ○○노조 風文 2022.12.26 1421
320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22
3204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23
3203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23
320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24
3201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25
320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31
3199 ‘~스런’ 風文 2023.12.29 1431
3198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32
3197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33
3196 지슬 風文 2020.04.29 1434
319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