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1.16 08:08

‘통일’의 반대말

조회 수 16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일’의 반대말

‘낮’의 반대는 ‘밤’, ‘살다’의 반대는 ‘죽다’. 반대말은 어떤 상태의 양쪽 끄트머리로 우리의 시선을 잡아당긴다. 그 사이에 있는 우여곡절은 놓치게 하지. ‘깨끗하다-더럽다’ ‘따뜻하다-차갑다’ ‘다정하다-무정하다’처럼 사회문화적인 평가가 담긴 말은 한쪽으로 마음이 쏠리게 하지.

'통일’의 반대말은 뭘까? ‘분단’이나 ‘분열’쯤 될 듯. 분단, 분열은 ‘쪼개지고 갈라졌다’는 부정적 감정을, 통일은 ‘하나되고 일치한다’는 긍정적 감정을 일으킨다. ‘우리의 소원’이기도 하니, 거역할 수 없는 지상명령이다. 통일만 된다면, 긴장과 대립은 사라지고 상처는 치유되며 온 세상에 일치와 단결의 함성이 드높아질 거라는 유토피아적 희망을 품게 된다.

그러다 보니, 분단, 분열 쪽은 쳐다보지도 않는다. 일상생활에서도 일사불란한 통일을 좋아한다. 식당에서 ‘짜장면으로 통일!’을 외칠 때 뿌듯한 일체감을 느낀다. 통일은 엄연히 존재하는 차이를 가려야 성립한다. 그런 점에서 획일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반대편에 있는 ‘분단’, ‘분열’을 보자. 요즘 말로 바꾸면 ‘자유’나 ‘자치’라 하겠다. 각각의 자유가, 서로의 다름이 당당히 추구되고 성취되어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래도 함께할 구석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이 떠올라야 ‘같은 말과 피’라는 민족적·유전자적 차원보다 진일보한 통일이 가능하리라. 우리에게 더 많은 권력 분산, 더 많은 지방색, 더 많은 자치가 필요하다. 통일과 자유, 자치를 절묘하게 결합시키는 게 시대적 과제다. 반대말의 사이를 헤엄치며, 반대말을 뒤섞음으로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71
332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063
3325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99
3324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43
33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24
33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91
332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38
332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179
3319 “김” 風文 2023.03.06 1607
331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86
331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22
3316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45
3315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66
33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60
»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59
3312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38
331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85
331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23
3309 ○○노조 風文 2022.12.26 1287
33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50
3307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693
3306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834
330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