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12.19 07:15

구경꾼의 말

조회 수 13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경꾼의 말

녹사평역 3번 출구. 스산한 바람이 뒹굴고 무심한 차들이 질주하는 고갯마루에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분향소가 있다. 바로 곁에 “정치 선동꾼 물러나라”라는 펼침막을 붙인 봉고차 한대. 이 어색한 밀착의 공간을 서성거린다.

어떤 사건이 벌어졌을 때 그 주변을 배회하는 구경꾼들이 있다. 사건을 관망하면서 말을 끄집어내는 구경꾼들의 입은 당사자만큼이나 중요하다. 권력자들을 떨게 만드는 건 구경꾼들의 예측할 수 없는 의지와 결집이니.

8년 전. 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 대변인이었던 유경근씨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건 참사의 원인 규명과 책임자들의 사과, 그리고 재발 방지 약속이다. 이것을 정말 듣고 싶다”고 말했다. 지금도 희생자 가족들은 그 ‘부질없는 말’을 정말 듣고 싶어 한다.

권력자들은 말이 없다.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말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듯. 그들이 입을 닫으니 반동들이 입을 연다. 예전보다 더 빠르고 악랄하고 노골적이다. 권력자들은 반동의 무리들이 반갑다. 구경꾼들을 당사자들과 분리시키고, 자기들끼리 싸우게 될 테니.

그러니 말을 믿지 말자. 권력자의 말을 믿지 말자. 그들이 하지 않은 말도 믿지 말자. 뉴스를 믿지 말자. 신문에 기사화된 분노를 믿지 말자. 그 분노는 애초에 우리의 심장 속에 있었다. 대중매체가 훔쳐 간 것이다. 휴대폰만 쳐다보면 인간의 존엄성을 능욕하는 막말도 의견인 양 같은 무게로 읽힌다. 그러니 우리의 감각을 믿지 말자. 우리의 무감각도 믿지 말자. 우리에게 절실한 건 ‘가서 보는 것’. 참사를 만져보는 것. 목격자로서 말을 하는 것.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30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858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404 

    국민께 감사를

  5. No Image 26May
    by 風文
    2023/05/26 by 風文
    Views 1405 

    ‘이’와 ‘히’

  6. No Image 20Jun
    by 風文
    2022/06/20 by 風文
    Views 1408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7. No Image 29Apr
    by 風文
    2020/04/29 by 風文
    Views 1409 

    지슬

  8. No Image 12Aug
    by 風文
    2022/08/12 by 風文
    Views 1410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9.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411 

    사수 / 십이십이

  10.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412 

    ‘~스런’

  11. No Image 28Apr
    by 風文
    2022/04/28 by 風文
    Views 1413 

    남과 북의 협력

  12.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414 

    마녀사냥

  13. No Image 26Jun
    by 風文
    2022/06/26 by 風文
    Views 141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14.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414 

    ‘폭팔’과 ‘망말’

  15. No Image 01Feb
    by 風文
    2022/02/01 by 風文
    Views 1417 

    삼디가 어때서

  16.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418 

    북한의 ‘한글날’

  17.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420 

    통속어 활용법

  18. No Image 29Sep
    by 風文
    2022/09/29 by 風文
    Views 142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19. No Image 18Apr
    by 風文
    2023/04/18 by 風文
    Views 14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20.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424 

    영어 공용어화

  21. No Image 07Jul
    by 風文
    2022/07/07 by 風文
    Views 1425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22. No Image 24Sep
    by 風文
    2022/09/24 by 風文
    Views 142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23.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428 

    공적인 말하기

  24. No Image 17Jul
    by 風文
    2022/07/17 by 風文
    Views 1428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25. No Image 27Jun
    by 風文
    2023/06/27 by 風文
    Views 1433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