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름 짓기

딸애가 배시시 꼼지락거리고 있는데, 한달이 다 되도록 이름을 못 지었더랬다. 출생신고는 ‘태어났음’을 신고하는 게 아니라, ‘이름’을 신고하는 행위렷다.

이름은 대상에 대한 이해의 표현이다. ‘알버섯, 붉은완두, 검정콩, 몽당솔, 누운잣나무’ 따위는 식물의 생김새나 색깔 같은 특성을 포착하여 지은 이름이다. 사람이나 동물, 사물에 빗대어 짓기도 하는데, ‘할미꽃, 애기똥풀, 개구리참외, 쥐똥나무, 국수맨드라미, 접시꽃’ 같은 이름이 그렇다.

당신의 이름처럼, 이름은 대상에 대한 희망의 표명이기도 하다. 성명학에 따르면, 이름은 존재의 운명을 좌우한다. 당신도 가끔 본인 이름을 곱씹으며 거기에 담긴 희망(바람)대로 살고 있는지 가늠해보곤 할 테지?(‘바다를 진압한다’는 이름 뜻과 ‘수영을 못 하는’ 현실은 나를 이중인격자로 만들었다오.)

이름은 대상에 대해 뿌옇게 퍼져나가는 상상을 잡아 붙들어 매고 실체화한다. 닻이 바닥에 박혀 배를 고정시키듯, 그림이나 사진에 붙은 제목은 이미지의 의미를 고정시키는 ‘정박 기능’을 한다(롤랑 바르트). 갑옷과 투구를 쓴 병사가 벌거벗은 여성과 아이에게 총을 겨누고 있는 피카소의 그림을 감상하다가, ‘한국에서의 학살’이란 제목을 보게 되면 감흥이 남달라져 다시 들여다보게 되듯이.

‘청와대’란 이름은 건물 지붕이 파래서 지은 이름이지만, 대통령이라는 국가기관을 통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어련히 알아서 할까마는, 용산으로 옮아가는 대통령 집무실 이름은 따로 생각해 두었겠지?(한달 안에 출생신고를 하지 않으면 5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더라.


‘쌔우다’

아이를 돌보는 시기에만 하게 되는 특이행동이 있다. 다른 행동, 예컨대 ‘어부바’를 해주거나 밥을 떠먹이거나 재우는 일은 (마음만 굳세게 먹는다면) 가족이나 친구에게도 할 수 있다. 하지만 괴기스러운 사이가 아니라면, 배설을 돕는 일은 결단코 하지 않는다.

기저귀를 떼고 나니 아이는 수시로 ‘아빠, 쉬’ 하며 화장실 동행을 요구했다. 그러면 아내에게 “오줌 쌔우고 올게.”라 한다. 잠자기 전이나 외출 전엔 “오줌 쌔웠어?”라며 확인한다. ‘싸다’의 사동형으로 ‘싸이다, 쌔다’란 말이 있지만 성에 안 찼다. ‘자다’가 ‘재우다’인 것처럼, ‘싸다’도 ‘쌔우다’지! ‘누다’에서 온 ‘누이다, 뉘다’도 안 썼다. ‘오줌싸개’란 말에서 보듯이 아이는 의지적인 ‘누기’보다는 제어불능의 ‘싸기’에 가까우니까! 나는 이 말을 자랑스럽게 썼다. 바지를 벗기고 ‘쉬’라는 효과음을 내고 똥을 닦아주고 바지를 올리고 손을 씻겨야 하는 이 수고로움을 ‘싸게 하다’로 어찌 담으리오.

‘먹이다, 입히다, 울리다, 웃기다, 깨우다’ 같은 사동사는 두개의 사건을 하나의 사건처럼 표현한다. 그 안에는 시키는 주체와 시킴에 따라 행동하는 주체가 다르다. 두 주체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표현이 달라진다. ‘옷을 입히다’는 아이에게 ‘만세’를 하게 한 다음에 보호자가 옷을 직접 입혀 주는 거라면 ‘입게 하다’는 “옷 입어”라고 말만 할 거 같다.

‘자립’은 이를테면, 오줌을 ‘쌔우다’에서 ‘싸게 하다’를 거쳐, 종국에는 스스로 ‘싸는’ 여정이랄까?(어휴, 늙음은 처음 자리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군.)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51
3304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26
3303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29
3302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230
3301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31
3300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33
3299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33
3298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35
3297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38
3296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40
329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40
3294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241
329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43
3292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44
3291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45
329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45
3289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5
3288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46
328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48
3286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48
3285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49
3284 '-시키다’ 風文 2023.12.22 1249
3283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