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선입견

나는 말에 잘 속아 넘어가는 편이다. 가게 채소 칸에 ‘밤고구마’라 적혀 있으면 분명 당근인데도 ‘햐, 밤고구마가 발그스레한 게 맛있어 보이는군’ 하고 속는다. 어제는 아들이 가으내 해바라기씨를 말려 투명 비닐봉지에 넣어 왔는데 하필 겉에 ‘취나물말림’이라는 스티커가 붙은 걸 보고, ‘말린 취나물이 씨앗처럼 생겼군’ 하며 얼토당토않은 추측을 했더랬다.

말에 속아 판단을 그르치는 것보다 나를 더 좌우하는 건 선입견이다. 선입견은 머리보다는 몸의 기억에 가깝다. 아버지는 각자가 경험한 아버지다. 같은 쥐래도 들쥐는 등골이 오싹해지고 다람쥐는 웃음이 나온다. 바퀴벌레는 4억년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과학자들에겐 관심의 대상일지 모르지만 우리에겐 ‘해충’이다. 기독교도들은 기도 중에 (부처가 아닌) 예수를 만나고, 불교도들은 (예수가 아닌) 부처를 만난다. 깊고 깊은 심층에도 선입견이 작용하나 보다.

구름이 사라지면 달이 선명해지듯이, 선입견을 없애면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선입견을 없앨 수 없다. 우리는 언제나 선입견을 가지고 어떤 것을 이해한다(가다머). 선입견은 인간이 세계를 알아가는 방법이다. 개인의 삶의 역사가 쌓여 선입견을 만들고, 이 선입견을 바탕으로 현재를 이해한다. 사회 전체가 공통으로 쌓아올린 선입견을 ‘상식’이라고도 하고 ‘공통기억’, ‘공통감각’, ‘역사’라고도 한다.

투표는 우리의 선입견에 대한 관찰보고서다. 진정한 정치의식은 자신의 선입견을 자각하고 재음미하는 데에서 길러진다. 나는 이 땅의 뭇 생명들과 어떤 삶의 인연을 맺어왔던가를.


부동층이 부럽다

확신이 안 선다. 사무실 온풍기 불을 껐는지, 안 껐는지. 이미 버스는 탔고, 돌아갔다 오면 약속 시간엔 늦는다. 끈 거 같기도 하다. 종일 틀어놔도 별 탈 없었고. 하지만 ‘만에 하나’ 불이라도 나면 어쩌나 하는 마음에 버스에서 내린다. 돌아가지 않으면 내내 걱정일 테고, 갔는데 불이 꺼져 있으면 허탈하겠지. 되돌아간 보람이라도 있으려면, 차라리 불이 켜져 있기를!

선거는 사람들 마음에 심리적 확고함이라는 굳은살이 자라게 한다. 일종의 최면 상태이다. 평소보다 접하는 정보는 더 편향적이고, 입에서 나오는 말도 확신에 차 있다. 나는 언제나 정의와 진리의 편. 무너진 정의를 세우고 시대정신을 구현하려면 ‘그’가 되어야 하고, ‘그놈’은 반드시 떨어뜨려야 한다. 지지 후보와 정서적 일체감과 사상적 동질감을 느낀다. 확고함은 간절함과 친구 사이. 고약하게도 간절할수록 불안감도 커진다. 혹시 ‘그놈’이 당선되면 세상은 엉망진창, 뒷걸음질하겠지.

투표를 하면서 ‘안 되면 어떡하지?’보다 ‘내가 틀렸을지도 몰라’라는 말을 되뇐다. 우리가 틀렸을지도 모른다고 되뇌다 보면 정치를 둘러싼 말이 쪽수나 당락의 문제로 귀결되지 않게 만든다. 어느 누구도 이 세계를 명징하게 설명하거나 해결할 수 없다. 나는 정의의 편이 아닐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부동층’이 부럽다. 흔들리는, 한곳에 정박하지 않는,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오늘과 내일의 생각이 같지 않은 사람이 많아질수록 정치는 생활현실에 더 가까워지고, 사회는 더 두툼해지리라. 분하게도 나는 부동층이 되기엔 이미 머리가 굳었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09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64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8Apr
    by 風文
    2023/04/28 by 風文
    Views 1398 

    돼지껍데기

  5. No Image 26Oct
    by 風文
    2022/10/26 by 風文
    Views 1399 

    “힘 빼”, 작은, 하찮은

  6. No Image 20Jun
    by 風文
    2022/06/20 by 風文
    Views 1400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7.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405 

    ‘폭팔’과 ‘망말’

  8. No Image 12Aug
    by 風文
    2022/08/12 by 風文
    Views 140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9.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406 

    통속어 활용법

  10.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407 

    사수 / 십이십이

  11. No Image 28Apr
    by 風文
    2022/04/28 by 風文
    Views 1407 

    남과 북의 협력

  12. No Image 01Feb
    by 風文
    2022/02/01 by 風文
    Views 1408 

    삼디가 어때서

  13. No Image 29Dec
    by 風文
    2023/12/29 by 風文
    Views 1408 

    ‘~스런’

  14. No Image 29Apr
    by 風文
    2020/04/29 by 風文
    Views 1409 

    지슬

  15.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409 

    마녀사냥

  16.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410 

    북한의 ‘한글날’

  17. No Image 29Sep
    by 風文
    2022/09/29 by 風文
    Views 141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18.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414 

    영어 공용어화

  19. No Image 26Jun
    by 風文
    2022/06/26 by 風文
    Views 141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20. No Image 07Jul
    by 風文
    2022/07/07 by 風文
    Views 1420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21.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421 

    드라이브 스루

  22.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423 

    공적인 말하기

  23. No Image 18Apr
    by 風文
    2023/04/18 by 風文
    Views 142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24. No Image 24Sep
    by 風文
    2022/09/24 by 風文
    Views 1425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25. No Image 08Oct
    by 風文
    2022/10/08 by 風文
    Views 1425 

    풀어쓰기, 오촌 아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