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3과 제주어

‘육지’와 멀리 떨어진 게 고유성을 지키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4·3사건으로 섬사람들은 고립되고 실어증에 걸린다. 제주어는 반란의 언어, 금지된 말. 참상에 대한 증언은 고사하고 제주 사람 티가 나는 말을 쓰는 것조차 꺼렸다. 육지에 나갈 때, 섬말은 바다에 내던져졌다.

2010년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사라져 가는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등록했다. 4단계는 소멸 직전의 언어로, 노인들만 뜨문뜨문 쓴다는 뜻이다. 말의 표준화와 미디어의 전국화는 지역어의 위기와 소멸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제주에는 제주어를 기록, 보존, 활성화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의 자긍심은 제주어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제주어 표기법’을 갖고 있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육지에서는 진작에 버린 ‘아래아’(ㆍ)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아’는 만들어지고 얼마 안 지나 소릿값이 바뀌기 시작한 글자다. 단어의 첫소리에서는 주로 ‘ㅏ’로 바뀌고(ᄂᆞᆷ→남), 첫소리 아닌 자리에서는 ‘ㅡ, ㅓ, ㅜ’로 변했다(하ᄂᆞᆯ→하늘, 다ᄉᆞᆺ→다섯, ᄂᆞᄅᆞ→나루). 단어마다 달라지는 발음을 어떻게 표시할지가 숙제이지만, 제주어를 기록하는 사람들은 제주어에 ‘아래아’ 발음이 살아 있으며, 이것이 제주어의 독특함 가운데 하나라고 본다.

제주어가 복권되길 바란다. 딴 지역보다 조건이 좋다. 자율성을 갖춘 자치도이기도 하고, 제주어 복권을 위해 애써온 사람들이 도도하게 버티고 있다. 집과 학교에서, 말로도 글로도 끈질기게 써서 제주어가 하나의 ‘언어’로 활짝 피어나길 빈다. 제주어 만세!


허버허버

“반대말이 없는 단어를 찾고 있어.” 아는 시인이 말했다. 기발하고 ‘기특한’ 상상이다. 나는 그를 ‘기특하다’고 했는데, 아마 당신은 그가 나보다 어린가 보다고 짐작할 것이다(실은 한참 위). 반대로 한 학생이 나를 ‘똑똑하다’라고 평하는 걸 보고, 맞는 말인데도(!) 기분은 상했었다. 밴댕이 소갈머리 선생은 ‘맹랑한 녀석’이라며 찡얼댔다. 어디에도 안 나오지만 안다. ‘표독스럽다’, ‘교태를 부리다’, ‘꼬리를 치다’가 누구를 향하는지 다 안다.

허버허버. “‘남자’가 음식을 급하게 먹을 때 내는 소리나 그 모양”을 뜻하는 새말. ‘남자’만을 지목하기 때문에 남성혐오라는 항의가 잇달았다. 무심코 이 말을 쓴 유명 ‘남성’ 유튜버는 ‘저는 절대 절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며 고해성사를 하고, 카카오톡에서는 이 말이 들어간 이모티콘을 판매 중지하면서 남성혐오 의도가 없다는 해명을 했다.

이 말의 기원이 ‘남자’만을 지목할지는 몰라도, 계속 그러기는 힘들 것이다. 다른 흉내말을 봐도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다. ‘깔짝깔짝, 깨지락깨지락, 꼭꼭, 오물오물, 우걱우걱, 질겅질겅, 쩝쩝, 후루룩’(‘냠냠’ 정도가 ‘아이’를 가리킨다).

사람이 미우면 뭘 먹을 때가 제일 얄밉다. 게다가 ‘허버허버’ 먹는다면 더 얄밉다. ‘기분 나쁘니 쓰지 말라’는 건 손쉬운 반응이긴 한데 문화적이진 않다. 반대말을 만들거나 새 의미를 덧붙여서 그 표현이 갖는 효력을 회수하는 방식이 좀 더 ‘기특한’ 방식이 아닐지.

그래도 말에 상처받았다고 말하는 남성이 늘어난다는 건, 멀리 보았을 때는 좋은 징후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136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281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0Nov
    by 바람의종
    2011/11/10 by 바람의종
    Views 15466 

    暴 (포와 폭)

  5. No Image 21Oct
    by 바람의종
    2010/10/21 by 바람의종
    Views 14120 

    히읗불규칙활용

  6.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8/02/20 by 바람의종
    Views 13162 

    히로뽕

  7. No Image 27Nov
    by 風文
    2023/11/27 by 風文
    Views 2243 

    흰 백일홍?

  8. No Image 29Feb
    by 바람의종
    2008/02/29 by 바람의종
    Views 13933 

    희쭈그리

  9. No Image 11Oct
    by 바람의종
    2007/10/11 by 바람의종
    Views 11296 

    희망

  10.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9/06/09 by 바람의종
    Views 10148 

    흥정

  11. No Image 12Nov
    by 바람의종
    2009/11/12 by 바람의종
    Views 15889 

    흡인력, 흡입력

  12.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08/03/08 by 바람의종
    Views 16392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13.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11362 

    흙성과 가린여흘

  14.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08/07/21 by 바람의종
    Views 9667 

    흘리대·흘리덕이

  15.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9/11/09 by 바람의종
    Views 13627 

    흐리멍텅하다

  16.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09/02/02 by 바람의종
    Views 16433 

    흉칙하다

  17.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9/09/07 by 바람의종
    Views 11944 

    흉내 / 시늉

  18. No Image 10Oct
    by 바람의종
    2007/10/10 by 바람의종
    Views 15413 

    휴거

  19. No Image 30Jun
    by 바람의종
    2009/06/30 by 바람의종
    Views 15779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20. No Image 13Nov
    by 바람의종
    2008/11/13 by 바람의종
    Views 11083 

    휘호

  21. No Image 09Oct
    by 바람의종
    2007/10/09 by 바람의종
    Views 13597 

    휘하

  22. 휘파람새

  23. No Image 07Aug
    by 바람의종
    2010/08/07 by 바람의종
    Views 14973 

    휘발성

  24. No Image 05Dec
    by 風文
    2014/12/05 by 風文
    Views 25309 

    휘거

  25.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7/11/09 by 바람의종
    Views 13734 

    훈훈하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