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쇄된 기억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애가 닳고 약이 올라 그 단어 주변을 계속 서성거린다. 비슷한 발음의 단어를 입에 굴렸다가 뱉어내고, 비슷한 뜻의 표현을 되뇌면서 추격한다. 가리키는 대상이 구체적이고 협소할수록 더 빨리 사라진다. 그래서 이름(고유명사)을 가장 먼저 까먹는다. 그다음이 일반명사, 형용사이고 동사가 마지막으로 사라진다.

단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우리는 자신이 늙어가고 있음을 직감한다. 머리에 구멍이 숭숭 나고 있고 내 안에 문제가 생겼음을 알아챈다. 어딘가 막히고 끊어지고 사라져 가고 있다. 늙는다는 건 말을 잃는 것. 우리 어머니도 말년에 말을 잃어버렸다. 말동무가 없던 게 큰 이유였지만 스스로를 표현할 힘도 잃어버렸다. 나도 단어를 잃어버림과 맞물려 점점 완고해지고 있다. 완고하다는 건 약해졌다는 뜻.

일반적으로 실어증의 원인을 ‘망각’에서 찾지만, 프로이트는 정반대로 해석한다. 실어증은 망각이 아니라 ‘심화된 기억’이라는 것이다. 특정 시기에 대한 기억만 강렬하게 남고 나머지는 사라진 결과이다. 언어능력이 제대로 작동하는 사람은 같은 말을 눈치껏 달리 표현하거나 고친다. 어제의 기억과 오늘의 기억을 넘나들며 이야기를 직조한다. 말을 잃어가고 있는 사람은 고체처럼 하나의 기억에 사로잡혀 같은 말을 끝없이 반복한다. 백오 세의 우리 할머니가 ‘○○는 왜 안 와?’, ‘우리 집엔 언제 가?’라는 말을 한자리에서 수십 번 반복하는 것도 그의 기억에 사람과 공간에 대한 그리움이 인쇄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당신의 기억에는 어떤 말이 인쇄되어 있는가?


………………………………………………………………………………………………

하루아침에

하루아침에 벌어진 일이다. 마스크 없이 버스 타기 꺼림칙하고 주가는 곤두박질치고 거리는 스산하고 사람들은 흩어졌고 형이 죽었다. 이전과 이후가 달라졌고 다시는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우리는 바쁘다. 일이 닥치고 나서야 ‘여기는 어디?’라고 묻는다. 조짐이 왜 없었겠냐마는 직전까지 모르다가 하루아침에 당했다고 착각한다. 물론 엄청나게 긴 시간을 뜻하는 ‘겁’(劫)이란 말도 안다. 천지가 한번 개벽할 때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사이. 가로세로 40리나 되는 큰 바위를 백년에 한번씩 얇은 옷으로 스쳐 마침내 그 바위가 닳아 없어지는 시간. 가늠할 수 없는 시간이다.

그래서인지 짧은 시간을 표현하는 말이 많다. ‘찰나’(刹那)는 75분의 1초. 이게 얼마나 짧은지 실을 잡아당겨 끊어지는 순간이 64찰나나 된다. ‘순식간’은 눈 한번 깜박이고 숨 한번 쉬는 사이다. ‘별안간’은 스치듯 한번 보는 동안이고, ‘삽시간’은 가랑비가 땅에 떨어지는 사이다. 아찔할 정도로 빠르다. ‘갑자기, 졸지에, 돌연, 홀연, 각중에, 느닷없이’ 같은 말도 어떤 일이 짧은 시간에 뜻밖에 벌어졌다는 느낌을 담는다.

그에 비해 ‘하루아침’은 숨이 덜 차다. ‘찰나, 순식간, 별안간, 삽시간’이 시간의 한 지점을 수직적으로 지목한다면, ‘하루아침’은 그걸 조금이나마 수평적으로 펼쳐놓는다. ‘찰나’나 ‘영겁’에 비해 ‘하루아침’은 시간의 질감이 느껴진다. 찰나에 서 있는 인간에게 ‘하루아침’은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를 알아차릴 수 있는 과분하게 여유로운, 그만큼 미련이 남는 시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79
3194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63
319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64
319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64
3191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366
319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70
3189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71
3188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73
3187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75
318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375
3185 ‘~스런’ 風文 2023.12.29 1375
»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77
3183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79
3182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81
318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81
3180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84
3179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86
3178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86
3177 지슬 風文 2020.04.29 1388
3176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88
3175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90
317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91
3173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