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20 13:17

귀순과 의거

조회 수 11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순과 의거

남과 북이 증오에 익숙해진 지 퍽 오래다. 그래도 근간에는 같은 말도 어느 정도 가려가며 쓰려는 것 같아 다행이다. 한때는 ‘괴뢰’라는 말을 썼지만 어느 결엔가 그 말은 사라졌다. 괴뢰는 꼭두각시란 뜻인데 요즘 북한 정책은 아무리 봐도 너무 뻣뻣해서 그렇지 누군가의 꼭두각시인 것 같지는 않다. 분단 이후 도대체 몇 명이나 북에서 남으로, 혹은 남에서 북으로 삶터를 바꿨을까? 철책선을 둘러보면 도대체 이렇게 엄중한 차단선을 어찌 감히 넘어갈 엄두를 냈는지 믿어지지가 않는다. 그럼에도 그것을 넘었다면 필경 이해하기 어려운 깊은 곡절과 사연이 있었으리라. 우리는 그렇게 70여 년을 보냈다.

우리는 북에서 남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귀순’이라고 한다. ‘반역의 진영’에서 마음을 바꿔 ‘순종’을 하려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남에서 북으로 넘어가는 것을 북에서는 ‘의거’라고 한다.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 얼마나 주관적인 이름 짓기인가? 적대적이던 쪽으로 국경을 넘는 것은 비상한 각오 없이는 불가능하다. 또 그럴 만한 ‘절박함’도 있어야 한다. 그런 것을 이렇게 ‘순종’이나 ‘정의’라는 단순 유치한 개념으로 묶어버리는 일은 온당한 언어 사용이 아니다. 그냥 정치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말에 지나지 않는다.

임의로 국경선을 넘는 것은 정확하게 표현하면 ‘망명’이다. 그리고 그 원인은 복잡한 ‘정치성’과 개인의 ‘내면적 아픔’이 뒤엉켜 있다. 우리가 민주 사회를 지향한다면 북에서 오는 사람들이 배가 고파 왔건, 음악이 좋아서 왔건, 철학적 근거를 가지고 왔건 ‘망명자’라는 객관적 신분과 그에 걸맞은 법적인 보호를 해 주는 것이 옳다. 올바른 명칭과 올바른 법적 대우, 그리고 인간적인 존중, 이것이 민주 사회가 향해야 할 바른 태도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982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631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1213
    read more
  4. 고령화와 언어

    Date2021.10.13 By風文 Views1010
    Read More
  5.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1011
    Read More
  6.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025
    Read More
  7.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41
    Read More
  8.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049
    Read More
  9.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1086
    Read More
  10.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1101
    Read More
  11. 배뱅잇굿

    Date2020.05.01 By風文 Views1120
    Read More
  12.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1122
    Read More
  13.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Date2022.09.10 By風文 Views1150
    Read More
  14.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158
    Read More
  15.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159
    Read More
  16.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Date2022.10.09 By風文 Views1161
    Read More
  17.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1164
    Read More
  18.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Date2022.09.18 By風文 Views1174
    Read More
  19. 거짓말, 말, 아닌 글자

    Date2022.09.19 By風文 Views1183
    Read More
  20. 외국어 선택하기

    Date2022.05.17 By風文 Views1188
    Read More
  21.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1194
    Read More
  22.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Date2022.09.17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23.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1199
    Read More
  2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Date2022.10.06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2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