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20 13:17

귀순과 의거

조회 수 12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순과 의거

남과 북이 증오에 익숙해진 지 퍽 오래다. 그래도 근간에는 같은 말도 어느 정도 가려가며 쓰려는 것 같아 다행이다. 한때는 ‘괴뢰’라는 말을 썼지만 어느 결엔가 그 말은 사라졌다. 괴뢰는 꼭두각시란 뜻인데 요즘 북한 정책은 아무리 봐도 너무 뻣뻣해서 그렇지 누군가의 꼭두각시인 것 같지는 않다. 분단 이후 도대체 몇 명이나 북에서 남으로, 혹은 남에서 북으로 삶터를 바꿨을까? 철책선을 둘러보면 도대체 이렇게 엄중한 차단선을 어찌 감히 넘어갈 엄두를 냈는지 믿어지지가 않는다. 그럼에도 그것을 넘었다면 필경 이해하기 어려운 깊은 곡절과 사연이 있었으리라. 우리는 그렇게 70여 년을 보냈다.

우리는 북에서 남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귀순’이라고 한다. ‘반역의 진영’에서 마음을 바꿔 ‘순종’을 하려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남에서 북으로 넘어가는 것을 북에서는 ‘의거’라고 한다.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 얼마나 주관적인 이름 짓기인가? 적대적이던 쪽으로 국경을 넘는 것은 비상한 각오 없이는 불가능하다. 또 그럴 만한 ‘절박함’도 있어야 한다. 그런 것을 이렇게 ‘순종’이나 ‘정의’라는 단순 유치한 개념으로 묶어버리는 일은 온당한 언어 사용이 아니다. 그냥 정치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말에 지나지 않는다.

임의로 국경선을 넘는 것은 정확하게 표현하면 ‘망명’이다. 그리고 그 원인은 복잡한 ‘정치성’과 개인의 ‘내면적 아픔’이 뒤엉켜 있다. 우리가 민주 사회를 지향한다면 북에서 오는 사람들이 배가 고파 왔건, 음악이 좋아서 왔건, 철학적 근거를 가지고 왔건 ‘망명자’라는 객관적 신분과 그에 걸맞은 법적인 보호를 해 주는 것이 옳다. 올바른 명칭과 올바른 법적 대우, 그리고 인간적인 존중, 이것이 민주 사회가 향해야 할 바른 태도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96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439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65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6.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80 

    딱 그 한마디

  7.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101 

    ‘수놈’과 ‘숫놈’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106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6 

    배뱅잇굿

  10.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52 

    치욕의 언어

  11.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54 

    대명사의 탈출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62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205 

    비판과 막말

  14.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206 

    뒷담화

  15.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207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42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51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55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72 

    편한 마음으로

  20.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73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1.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77 

    귀순과 의거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94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301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31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20 

    내색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