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5.17 09:00

외국어 선택하기

조회 수 12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국어 선택하기

오랫동안 사람들은 이 세상에 우수한 언어와 열등한 언어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신들의 것보다 열등해 보이는 언어를 멸시하거나 구박했다. 이른바 우월한 언어란 국제 관계 속에서 여러모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한 나라의 말이었다.

언어에서 이러한 ‘우월’과 ‘열등’ 분류 방식이 무너진 것은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다. 오늘날은 언어의 질적인 우열은 없다는 것이 상식이 되어 있다. 그럼에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는 뭔가 그럴듯한 언어와 보잘것없는 언어가 분명히 갈라져 있다. 곧 특정 언어에 대한 호오가 분명히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엄밀히 말해서 언어의 우열이 아니라 이익의 문제이다. 어떤 언어가 더 이익이 나느냐의 문제라는 말이다. 개인에게 어떤 언어를 배울지 선택하게 하면 모두 더 유리한 하나의 언어만을 선택하게 마련이다. 보통 선호되는 외국어는 언어 시장에서 가장 잘 알려진 명품으로 인식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외국어 시장은 영어가 독점하다시피 한다. 다양한 언어가 진열대에 오르지도 못하고 고객의 선택권 밖에 있다. 외국 서적을 파는 곳에서도 주로 영어 책만 보일 뿐 독일어나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로 된 책, 또 이웃의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책들도 그리 많지 않다. 그만큼 우리의 지식과 정보에는 ‘쏠림’이 심각하다.

이런 심각한 중독 현상은 어떤 외국어를 배울 것인가를 시장의 흐름에 맡겨 버렸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정부와 학계가 함께 고민해서 해결해야 한다. 각 개인의 선호 언어와 사회적으로 필요한 외국어를 조화롭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세계에는 참으로 다양한 지식과 관점이 풍부하게 널려 있다. 모든 구성원이 이러한 것을 골고루 받아들여 함께 사회적인 지혜를 꽃피울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45
3194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90
3193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91
319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92
319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93
3190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94
3189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97
3188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00
318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00
3186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01
3185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02
3184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04
3183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07
3182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13
3181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17
3180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17
3179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19
3178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21
3177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23
3176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23
317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27
3174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30
3173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