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52

외래어의 된소리

조회 수 12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래어의 된소리

한때 국민 점심 ‘짜장면’의 바른 표기가 ‘자장면’이었던 적이 있었다. 몇 가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외래어 표기에 된소리를 안 쓰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젠 둘 다 인정을 받는다. 다행히 ‘짬뽕’과 ‘껌’은 굳어진 관행으로 인정을 받아서 굳이 ‘잠봉’이나 ‘검’으로 적을 필요가 없었다. ‘짬뽕하다’라든지 ‘껌값’ 등의 파생어가 생겨서 이미 손을 쓸 수도 없었다.

우리의 언어 현실에서는 사실 외래어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다 보니 외래어 표기 규범과 충돌된다. 자연히, 표기할 때는 부드러운 예사소리로, 발음할 때는 익숙한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글 쓸 때는 ‘버스, 가스’, 말할 때는 ‘[뻐스], [까스]’ 하는 식이다. 그러다 보니 독한 ‘빼갈’ 마실 때는 된소리로 말하고, 사전을 찾을 때는 ‘배갈’을 찾아야 하는 모순이 생긴다.

아예 예사소리로 발음하면 의미 전달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뒷배가 든든한 사람을 가리켜 ‘빽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백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그냥 멍해진다. 자동차 타이어가 터지거나 미리 잡은 일정이 취소됐을 때 또 낙제 학점이 나왔을 때, [빵꾸]가 났다고들 하는데, 길거리의 정비공장에는 ‘빵구’라고 씌어 있는 곳이 많다. 그런데 신문 기사에는 대개 ‘펑크’라고 표기된다. 세 가지의 변이가 생긴 것이다.

이렇게 통속적으로 사용되는 외래어를 엄격한 표기 규범의 틀 안에서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애를 쓰면 쓸수록 규정의 이상과 언어의 현실 사이의 틈만 벌어진다. 이렇게 통속적 경로로 들어온 외래어는 규정에 ‘관습적 형태’라고 해서 따로 인정해주는 편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한다. 그래야 표준어 관리자도, 언어 사용자들도 편해진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71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19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202
    read more
  4. 정치인의 애칭

    Date2022.02.08 By風文 Views1320
    Read More
  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Date2022.02.06 By風文 Views1152
    Read More
  6. 프레임 설정

    Date2022.02.06 By風文 Views1962
    Read More
  7. 언어적 자해

    Date2022.02.06 By風文 Views1463
    Read More
  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Date2022.02.01 By風文 Views1356
    Read More
  9. 순직

    Date2022.02.01 By風文 Views1191
    Read More
  10. 삼디가 어때서

    Date2022.02.01 By風文 Views1318
    Read More
  11. 말의 평가절하

    Date2022.01.31 By관리자 Views1254
    Read More
  12. 어떤 문답

    Date2022.01.31 By관리자 Views1278
    Read More
  13. 사저와 자택

    Date2022.01.30 By風文 Views1173
    Read More
  14. 아줌마들

    Date2022.01.30 By風文 Views1200
    Read More
  15. 태극 전사들

    Date2022.01.29 By風文 Views1256
    Read More
  16. 정치의 유목화

    Date2022.01.29 By風文 Views1434
    Read More
  17. 외래어의 된소리

    Date2022.01.28 By風文 Views1208
    Read More
  18. 통속어 활용법

    Date2022.01.28 By風文 Views1321
    Read More
  19. 말과 공감 능력

    Date2022.01.26 By風文 Views1095
    Read More
  20. 정당의 이름

    Date2022.01.26 By風文 Views1176
    Read More
  21. 법과 도덕

    Date2022.01.25 By風文 Views1220
    Read More
  22. 연말용 상투어

    Date2022.01.25 By風文 Views1123
    Read More
  23. 말로 하는 정치

    Date2022.01.21 By風文 Views1264
    Read More
  24. 야민정음

    Date2022.01.21 By風文 Views1219
    Read More
  25. 쇠를 녹이다

    Date2022.01.15 By風文 Views164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