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7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00
3282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612
3281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884
328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674
3279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420
3278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515
3277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64
3276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723
3275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814
327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490
327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611
327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201
327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737
327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878
3269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86
3268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35
3267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680
3266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656
3265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814
326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2017
326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630
3262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649
3261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8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