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6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86
31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705
3149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06
3148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08
3147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08
3146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710
3145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10
3144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712
3143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713
314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17
3141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18
3140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721
313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21
3138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23
313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723
313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24
3135 단골 風文 2023.05.22 1724
3134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27
3133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29
313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31
3131 너무 風文 2023.04.24 1733
313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33
3129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7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