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5 14:07

법과 도덕

조회 수 12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법과 도덕

가벼이 스치듯이 생각해보면 언어의 쓰임새는 깃털보다 가볍다. 그러나 깊이 돌이켜보면 언어의 무게는 태산보다 무겁다. 언어는 정치와 법률, 종교와 도덕 같은 묵직한 정신세계를 형성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것이 시대정신에 맞추어 제도화되어, 우리가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삼는 ‘규범’은 이 시대의 법률적 언어와 도덕적 언어로 구성하게 된다.

우리는 법을 성실히 지킴으로써 스스로 정당해진다. 동시에 도덕률도 잘 준수함으로써 자신의 행동과 사고가 올바름을 확신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법과 도덕을 따로따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존재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공직자를 준엄하게 비판할 때에는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모든 책임을 지라”고 요구한다. 법과 도덕은 함께해야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법과 도덕을 나누어 말하는 일이 눈에 띈다. “법적으로는 잘못이 없으나 도의적으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는 식의 표현들이다. 얼핏 들으면 도덕률을 중요시하는 것 같지만 법에 저촉만 안 되면 그까짓 도덕은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꼼수가 깊이 박혀 있다. 죄송하다는 말 정도는 골백번 해도 전혀 손해날 것 없다는 천박한 논리가 숨어 있는 것이다. 도덕의 알맹이보다 법의 껍데기만 갖춘 눈속임이다.

도덕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며, 법 조항 문구에만 저촉되지 않으면 된다는 사고방식의 밑바닥에는 근본적인 반도덕성이 숨어 있다. 법 조항 하나하나의 규정은 도덕에서 추구하는 ‘선량함’과 ‘올바름’을 구현하려는 보편적인 노력의 산물이다. 도덕 정신은 뒷전으로 미루고 일단 법 조항 사이사이에 숨어 있는 도덕률의 빈틈만 노리면 된다고 보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우리를 분노하게 하는 ‘법꾸라지’들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18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368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265 

    '-시키다’

  5. No Image 21Oct
    by 주인장
    2022/10/21 by 주인장
    Views 1267 

    국가 사전을 다시?(2,3)

  6.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269 

    금새 / 금세

  7. No Image 26Apr
    by 風文
    2023/04/26 by 風文
    Views 1270 

    용찬 샘, 용찬 씨

  8. No Image 26Jan
    by 風文
    2022/01/26 by 風文
    Views 1271 

    정당의 이름

  9.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71 

    한 두름, 한 손

  10. No Image 25May
    by 風文
    2020/05/25 by 風文
    Views 1272 

    꼬까울새 / 해독, 치유

  11.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272 

    과잉 수정

  12.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273 

    난민과 탈북자

  13. No Image 13Apr
    by 風文
    2023/04/13 by 風文
    Views 1274 

    '김'의 예언

  14. No Image 09Jun
    by 風文
    2022/06/09 by 風文
    Views 127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15. No Image 13Jun
    by 風文
    2022/06/13 by 風文
    Views 1275 

    개념의 차이, 문화어

  16. No Image 08Sep
    by 風文
    2022/09/08 by 風文
    Views 1275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17. No Image 22Jul
    by 風文
    2022/07/22 by 風文
    Views 1277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18. No Image 11Jul
    by 風文
    2022/07/11 by 風文
    Views 127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19. No Image 21Jan
    by 風文
    2022/01/21 by 風文
    Views 1281 

    야민정음

  20.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282 

    외래어의 된소리

  21.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282 

    아니오 / 아니요

  22. No Image 21Jul
    by 風文
    2022/07/21 by 風文
    Views 1285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23. No Image 07Aug
    by 風文
    2022/08/07 by 風文
    Views 1285 

    이단, 공교롭다

  24. No Image 25Nov
    by 風文
    2023/11/25 by 風文
    Views 1285 

    반동과 리액션

  25. No Image 10Jun
    by 風文
    2022/06/10 by 風文
    Views 1286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