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15 15:21

세로드립

조회 수 15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로드립

언어의 기능을 교과서적으로 이야기하면,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줄여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과서 안의 지식보다 바깥 지식이 더 많듯이, 언어도 교과서 바깥의 기능이 더 많다. 예를 들어 말장난, 남을 놀리거나 약 올리기, 거룩한 대상에 대한 희롱이나 조롱 같은 것들은 언어의 또 다른 다양한 역할이다.

점잖은 작가들은 언어로 사랑과 비애, 순정과 분노를 적절히 걸러내며 그들의 ‘작품’을 만든다. 반대로 세속의 보통사람들은 언어로 온갖 장난을 치며 살아간다. 진지함보다는 가벼움으로, 감정의 승화보다는 배설을 선호한다. 이른바 속세의 말장난들이다. 대중이 생산한 통속문학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래전에 유행했던 ‘덩달이 시리즈’라든지 ‘만득이 시리즈’ 또는 요즘도 간간이 하고 있는 ‘삼행시’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겠다.

뜻하지 않게 요즈음 ‘세로드립’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가로로 쓴 문장들의 첫 번 음절들을 세로로도 읽을 수 있게 메시지를 이중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가로로 던지는 사연은 긍정적인 것으로, 세로로 말하는 내용은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것으로 엮음으로써 상호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고도의 문학 정신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대중 속에서 끓어오르는 비아냥, 조소 등을 잘 드러내 준다.

이런 작품이 점잖은 공모전에 당선되어 웃음거리가 되고 이러한 언어유희를 놓고 송사까지 벌어지는 모양이다. 희롱당한 측의 노여움은 백분 이해되나 유희나 개그를 대상으로 재판을 벌인다는 것은 더 큰 조롱을 불러들이는 지름길이 되지 않을까 한다. 차라리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그와 같은 찬양 문학의 공모전이 과연 지금의 시대정신에 부합하기는 했는지를 되묻는 것이 가장 슬기로운 길이 아닌가 한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996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391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4020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3048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39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841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232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58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802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302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275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73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58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351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61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318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76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981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505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11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86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5183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