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0 18:04

'미망인'이란 말

조회 수 8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망인'이란 말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옛날보다는 꽤 평등해진 것 같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직’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여전히 눈에 띈다.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쓰는 어휘 속에도 배타적인 성적 구별을 노리는 뜻이 여기저기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남편이 먼저 죽어 홀로 남은 여성을 우리는 ‘미망인’이라고 부른다. 속되게 표현하는 과부니 과수댁이니 하는 말보다 매우 세련되고 다듬어진 것 같지만 들여다보면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이라는 섬뜩한 의미가 담겨 있다. 그 뜻을 염두에 둔다면 가까운 사람들한테 쉽게 쓸 수 있는 단어라는 생각이 안 든다.

원래 이 말은 1인칭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남편을 여읜 여성이 ‘자기 스스로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따라서 이 말은 남편을 잃은 여성이 남편을 어서 따라가고 싶다는 매우 감상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말이었다. 이것이 요즘은 별생각 없이 2인칭, 3인칭으로 쓰이고 있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가당치 않은 용법이다.

결론을 좀 급하게 말한다면 요즘은 배우자를 잃었을 때 받아들이게 되는 정신적인 아픔과 마음의 상처를 그리 극적으로 표현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다. 그 단어가 나타난 이삼천년 전의 중국에서는 배우자를 잃은 여성의 삶이란 정말 하늘이 무너진 것보다 더한 충격이었겠지만 말이다. 이제는 일정한 애도가 끝나면 담담하게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더 상식적이고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겠는가?

애도 기간에 홀로된 배우자를 굳이 거명해야 한다면 “돌아가신 고 아무개의 부인 누구누구께서 …” 하는 식으로 풀어 말하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울 것 같다. 그렇게 하면 반대로 아내가 먼저 세상을 뜬 경우에 홀로된 남편을 가리키기도 편하지 않을까 한다.

양성평등이라는 것은 마음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제도의 개혁도 필요하고, 나아가 나도 모르게 내 마음에 편견과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말과의 투쟁도 필수적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59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12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009 

    내색

  5. No Image 25May
    by 風文
    2022/05/25 by 風文
    Views 1012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6.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025 

    여보세요?

  7. No Image 20Sep
    by 風文
    2022/09/20 by 風文
    Views 1031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8. No Image 15Aug
    by 風文
    2022/08/15 by 風文
    Views 1034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9.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037 

    뒷담화

  10.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037 

    부사, 문득

  11.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043 

    언어와 인권

  12. No Image 04Aug
    by 風文
    2022/08/04 by 風文
    Views 1043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13. No Image 13Feb
    by 관리자
    2022/02/13 by 관리자
    Views 104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14.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04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15. No Image 18Aug
    by 風文
    2022/08/18 by 風文
    Views 1054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16. No Image 11Oct
    by 風文
    2022/10/11 by 風文
    Views 1055 

    안녕히, ‘~고 말했다’

  17. No Image 30Aug
    by 風文
    2022/08/30 by 風文
    Views 1057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18.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060 

    영어 절대평가

  19. No Image 07Oct
    by 風文
    2022/10/07 by 風文
    Views 1062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20. No Image 21Apr
    by 風文
    2023/04/21 by 風文
    Views 1063 

    댄싱 나인 시즌 스리

  21.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064 

    올바른 명칭

  22. No Image 16Aug
    by 風文
    2022/08/16 by 風文
    Views 1064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23. No Image 27Aug
    by 風文
    2022/08/27 by 風文
    Views 1064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24. No Image 10Nov
    by 風文
    2023/11/10 by 風文
    Views 1071 

    이중피동의 쓸모

  25. No Image 23Jun
    by 風文
    2022/06/23 by 風文
    Views 1072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