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3 23:46

잡담의 가치

조회 수 9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잡담의 가치

 사람들이 모이면 처음에는 좀 조용하다가 이내 웅성거리고 수군거리게 된다. 자연히 목소리를 점점 더 높이게 되고 시끄러워진다. 이렇다 할 의미도 없어 보인다. 그래서 잡스럽다 하여 잡담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이들이 웅성거리는 것은 대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교환하는 과정이다. 상황이 어찌 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손해 보지 않는지 등을 캐내려고 더듬이로 확인하는 중이다.

 아는 사람들이 모이면 금방 노닥거린다. 화제도 자유롭다. 주제의 일관성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이야기 하다가 쉽게 저런 이야기로 돌변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전혀 부담스러워하거나 짜증스러워하지 않는다. 이것도 잡담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과정도 그리 무의미하지는 않다. 서로의 감성을 공유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친한 사람들일수록 잡담을 많이 한다. 이렇다 할 결론도 없고, 뚜렷한 주제도 없었으면서도 오랜 시간 노닥거리고 나서는 매우 흡족해한다. 나중에 또 보자고 하게 되고 또 만나면 역시 그저 그런 잡담을 하게 된다. 그만큼 잡담을 통한 감성의 교류는 사람들을 무척 만족스럽게 만든다. 그 까닭은 잡담이 참여자들에게 ‘유대감’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잡담을 하고 나서 느끼는 뿌듯함은 사실 재확인된 유대감이 남긴 마음의 흔적이다. 그러나 잡담은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는 않다. 가까운 사람들과도 자주 이야기를 나누지 않으면 공유하는 감성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잡담은 자꾸만 잦아지고, 시간 낭비로 오해받기 쉽다.

그러면서도 잡담은 사람들 사이의 접착제 역할을 한다. 얼핏 보기에는 무가치한 언어 활동 같으면서도 공동체의 유대 의식을 형성하는 데에는 더없이 유용한 수단이다. 지금의 우리 언어가 형성되기까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잡담으로 그 기초 공사를 한 셈이다. 잡담은 모든 언어의 주춧돌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459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116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5900
    read more
  4.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133
    Read More
  5.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1110
    Read More
  6.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106
    Read More
  7.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93
    Read More
  8.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1092
    Read More
  9.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1079
    Read More
  10.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1071
    Read More
  11. 고령화와 언어

    Date2021.10.13 By風文 Views1061
    Read More
  12.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1047
    Read More
  13. 또 다른 이름

    Date2021.09.05 By風文 Views1039
    Read More
  14.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15.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1034
    Read More
  16.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1033
    Read More
  17.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1025
    Read More
  18.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1022
    Read More
  19.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1002
    Read More
  20.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974
    Read More
  21.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973
    Read More
  2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971
    Read More
  23.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969
    Read More
  24.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939
    Read More
  25.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93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