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2 22:50

대명사의 탈출

조회 수 10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명사의 탈출

 

‘나와 너’, ‘여기와 저기’와 같은 말을 대명사라고 한다. 대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말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위치에 따라 말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내가 나를 일컬을 때는 분명히 ‘나’였는데, 남이 나를 부를 때는 ‘너’가 된다. 또 ‘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실체는 그대로인데 누가 어디에서 나를 호출하느냐에 따라 어휘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린아이들은 아직 관계라는 개념에 익숙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와 ‘너’라는 대명사보다는 아예 이름을 말한다. 

 

관계를 언어로 드러내는 것은 퍽 까다로운 일이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인칭에 따라 달라지는 그들의 동사가 얼마나 귀찮았던가. 그들의 언어는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동사의 성격을 다르게 본 것이다. 대명사가 인간의 관계를 드러낸다면 명사는 그 관계를 무표정하게 만든다. 그냥 ‘집’이라 하면 건축물로서의 ‘집’이다. 그러나 ‘우리 집’이라고 하면 ‘우리’의 소유 대상이거나 거주 공간이다.  이러한 대명사들이 그 ‘관계의 표지’를 품에 안은 채 명사의 구역으로 자꾸 탈출하고 있다. 몇 해 전에 ‘우리’라는 말을 특정 정당과 은행의 이름에 사용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요기요’, ‘여기 어때’, ‘여기다’ 같은 대명사가 마치 명사인 듯이 응용프로그램(앱) 이름에 등장했다. 품사의 경계를 넘나들면 기능이 중복되게 마련이다. 심지어 지방의 어느 지역을 지나가다가 ‘거기’라는 모텔 이름도 본 적이 있다. “우리 ‘거기’ 갈까?” 하는 소박한 문장 안으로 모텔의 의미가 침투해 들어온 것이다.

 

말의 성격이 슬슬 변하고 있다. 서로의 관계를 보여 주는 대명사가 에일리언처럼 명사(상품명)의 몸에 들어가 소비자들을 낚아채려 한다. 소비자들은 대명사 때문에 그 상품과 자신이 유의미한 관계인 것처럼 느끼게 된다. 원래 소비자와 관계 깊던 대명사가 상품의 진영으로 넘어가 버리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27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985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4824
    read more
  4. 본정통(本町通)

    Date2023.11.14 By風文 Views1369
    Read More
  5. ‘이고세’와 ‘푸르지오’

    Date2023.12.30 By風文 Views1369
    Read More
  6. 있다가, 이따가

    Date2024.01.03 By風文 Views1369
    Read More
  7. 도긴개긴

    Date2023.05.27 By風文 Views1372
    Read More
  8. 어떤 문답

    Date2022.01.31 By관리자 Views1374
    Read More
  9. '바치다'와 '받치다'

    Date2023.01.04 By風文 Views1374
    Read More
  10. ‘파바’와 ‘롯리’

    Date2023.06.16 By風文 Views1374
    Read More
  11.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Date2022.10.15 By風文 Views1377
    Read More
  1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Date2023.05.24 By風文 Views1382
    Read More
  13. 수능 국어영역

    Date2023.06.19 By風文 Views1382
    Read More
  14.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Date2024.01.06 By風文 Views1382
    Read More
  1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Date2022.07.31 By風文 Views1384
    Read More
  1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Date2022.08.19 By風文 Views1387
    Read More
  17. ○○노조

    Date2022.12.26 By風文 Views1388
    Read More
  18. 세로드립

    Date2021.10.15 By風文 Views1389
    Read More
  19. 말로 하는 정치

    Date2022.01.21 By風文 Views1390
    Read More
  20. 쌤, 일부러 틀린 말

    Date2022.07.01 By風文 Views1390
    Read More
  21. 되묻기도 답변?

    Date2022.02.11 By風文 Views1394
    Read More
  22.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Date2024.01.04 By風文 Views1395
    Read More
  23. 돼지껍데기

    Date2023.04.28 By風文 Views1398
    Read More
  24. 국민께 감사를

    Date2021.11.10 By風文 Views1399
    Read More
  25. 이름 짓기, ‘쌔우다’

    Date2022.10.24 By風文 Views14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