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2.17 16:00

상봉, 조우, 해후

조회 수 2203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상봉, 조우, 해후

   아끼는 이들이 오랜 이별 뒤에 만나는 장면은 언제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남북 이산 가족이 만나는 기쁨은 그간 몇 차례 있었지만 북한의 도발로 더 이상 기회가 이어지지 못했다. 최근 강경 일변도였던 북한이 다시 대화 국면으로 돌아섰다. 위장 평화 공세일지라도 이산의 아픔을 생각하면 가족 상봉 등에 합의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만남을 뜻하는 단어 중 자주 쓰는데도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지나가기 쉬운 상봉(相逢), 조우(遭遇), 해후(邂逅) 등에 대해 알아보자. 상봉은 ‘서로 만남’이란 뜻을 가지고 있어 셋 중 가장 폭넓게 쓸 수 있는 말이다. “이산 가족 상봉이 이루어졌다” “타향에서 고향 친구를 상봉했다” “그리던 임과 상봉해 회포를 풀 날은 언제일까”처럼 쓸 수 있다.

 조우는 ‘우연히 맞닥뜨리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정찰 중 적과 조우해 전투가 벌어졌다”처럼 쓸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내가 온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와 10년 만에 반가운 조우를 했다”처럼 쓰는 것은 잘못이다. 이미 ‘내’가 온다는 것을 알고 달려온 것이어서 우연히 마주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해후를 쓸 수 있다. ‘해후’는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뜻밖에 다시 만남’이란 뜻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70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54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19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8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81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25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67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63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29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42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88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86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79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62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10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678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35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89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94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21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23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