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9 14:27

호함지다

조회 수 877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호함지다

한라산과 백두산에 눈이 내렸다. 같은 눈을 보고도 남북은 표현을 달리한다. 남한 말 ‘탐스럽다’에 해당하는 북한 말 ‘호함지다’가 그 경우다. “앞날을 예측할 수 없지만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는 순간 용기가 났다” 식으로 쓰인다. 이 예문에선 ‘호함지다’가 복합 의미(흐뭇하다+탐스럽다:흐뭇할 만큼 탐스럽다)를 담고 있지만 문장에 따라 남한 말 ‘탐스럽다’와 ‘흐뭇하다’의 (의미상) 경계를 넘나들면서 호환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즐겁던 일은 한바탕 호함진(흐뭇한) 웃음 끝에 흔히 잊어지고 마는데 어려운 나날들에 맺힌 사연은 기억의 쪽문을 열고…괴여 오르곤 한다.”-김철 ‘천지의 물줄기’
“가을이 됐으니 호함진(탐스러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야 할 텐데 웬일인지 쭉정이 농사뿐이다.”-김철 ‘뻐꾸기는 철없이 운다’

‘호함지다’를 더 살펴보니 ‘값지다·기름지다·멋지다’ 등이 떠오른다. ‘사물이 어떤 성질이나 모양이다’라는 것을 강조할 때 남한에선 명사에 접사 ‘-지다’를 흔히 붙여 사용한다. ‘호함지다’ 또한 ‘호함+지다’ 구성일 것 같은데 북한 사전엔 ‘호함’과 ‘-지다’를 따로 분류해 놓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93
3392 매무시 風磬 2006.11.26 8057
3391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242
3390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97
3389 무꾸리 風磬 2006.11.26 8206
3388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79
3387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650
3386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717
3385 (밤)참 風磬 2006.11.30 6483
3384 벽창호 風磬 2006.11.30 6165
3383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7151
3382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318
3381 부럼 風磬 2006.12.20 7272
338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90
3379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71
3378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64
3377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672
3376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8127
3375 불호령 風磬 2006.12.23 8997
3374 비지땀 風磬 2006.12.23 7390
3373 빈대떡 風磬 2006.12.23 7850
3372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64
3371 사또 風磬 2006.12.26 72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