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4 15:45

내일 뵈요, 내일 봬요

조회 수 1466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내가 이래 뵈도 말이지….” 의외의 모습을 드러내거나 과거의 모습을 떠올릴 때 사람들이 곧잘 쓰는 말이다.
“라면은 끓일 줄 아냐고요? 이래 뵈도 제가 못하는 요리가 없어요” “뛰는 걸로는 날 못 이길걸. 이래 뵈도 한때 잘나가는 육상 선수였거든!”처럼 흔히 사용하지만 ‘이래 뵈도’란 표현은 옳지 않다. 어법에 맞게 쓰려면 ‘이래 뵈어도’로 고쳐야 한다.

‘뵈어도’는 ‘보다’의 피동사 ‘보이다’가 줄어든 ‘뵈다’에 가정·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어미 ‘-어도’가 결합한 말이다. ‘뵈어도’를 줄여 ‘봬도’ 형태로도 쓸 수 있다. “신정환이 타짜의 명대사 ‘나 이래 봬도 이대 나온 여자야’를 ‘나 이래 뵈어도 광대뼈 나온 남자야”라고 변주해 웃음을 줬다”처럼 사용한다.

“내일 뵈요” “다음에 또 뵈요”도 마찬가지다. ‘뵈어요’ 또는 이를 줄인 형태인 ‘봬요’로 바루어야 한다. ‘뵈어요’는 ‘뵈다’의 어간 뒤에 어미 ‘-어’와 보조사 ‘요’가 붙은 말이다. 어간 ‘뵈-’에 조사 ‘요’가 바로 올 순 없으므로 ‘뵈요’의 꼴로는 쓰이지 않는다. ‘뵈다’는 ‘뵈어, 뵈어라, 뵈었다’ 등으로 활용하고 이를 줄이면 ‘봬, 봬라, 뵀다’가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19
3216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27
321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28
3214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30
3213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32
3212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34
3211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35
3210 ○○노조 風文 2022.12.26 1336
3209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37
3208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38
3207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39
320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41
3205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41
3204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42
3203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42
3202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43
3201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44
3200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46
3199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47
3198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50
3197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51
319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51
319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3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