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16 15:20

애저녁에 / 애초에

조회 수 1499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애저녁에 / 애초에

"요즘 같은 시대엔 아들 낳았다고 유세할 생각일랑 애저녁에 하지 말아라." "말하는 걸 보니 훌륭한 사람이 되긴 애저녁에 글렀다." "그 일이 불법이란 걸 알았다면 애저녁에 포기했어야 했다." "그 일로 성공하기는 애저녁에 물 건너갔다."

'가다가 중지하면 아니 간 것만 못하다'는 말이 있다. 무슨 일을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결과가 좋지 않을 것 같아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충고할 때, 앞 예문에서처럼 '애저녁에 그만둬라(하지 마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애저녁에'란 표현은 이렇듯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어문 규정상 올바르지 않다. '애저녁에'는 '애저녁+에'의 형태로, '처음부터'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지만 표준어가 아니다. 국어사전에도 '애초'의 잘못(사투리에 가깝다)이거나 북한어라고 돼 있다. '애초'는 '맨 처음'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애초에, 애초부터'처럼 써야 한다.

'애저녁에'란 표현 외에 '애전에' '애진에'라는 표기도 가끔 보이는데, 이 역시 표준어가 아니다. '애초'만이 표준어이며, 나머지는 북한어이거나 일부 지방의 방언이다. 따라서 '애저녁에, 애전에, 애진에' 등은 사투리를 살려 써야 할 상황이 아니면 "끝까지 해낼 각오가 없으면 애초에 시작하지 마라" "그 일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처럼 '애초에' '애초부터'로 표기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3216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8
3215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3214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48
3213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80
3212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50
3211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48
321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28
3209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17
3208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38
3207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68
3206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92
3205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53
3204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109
3203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38
3202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43
3201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8046
3200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34
3199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900
3198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13
3197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40
3196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70
3195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