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16 15:20

애저녁에 / 애초에

조회 수 1498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애저녁에 / 애초에

"요즘 같은 시대엔 아들 낳았다고 유세할 생각일랑 애저녁에 하지 말아라." "말하는 걸 보니 훌륭한 사람이 되긴 애저녁에 글렀다." "그 일이 불법이란 걸 알았다면 애저녁에 포기했어야 했다." "그 일로 성공하기는 애저녁에 물 건너갔다."

'가다가 중지하면 아니 간 것만 못하다'는 말이 있다. 무슨 일을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결과가 좋지 않을 것 같아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충고할 때, 앞 예문에서처럼 '애저녁에 그만둬라(하지 마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애저녁에'란 표현은 이렇듯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어문 규정상 올바르지 않다. '애저녁에'는 '애저녁+에'의 형태로, '처음부터'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지만 표준어가 아니다. 국어사전에도 '애초'의 잘못(사투리에 가깝다)이거나 북한어라고 돼 있다. '애초'는 '맨 처음'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애초에, 애초부터'처럼 써야 한다.

'애저녁에'란 표현 외에 '애전에' '애진에'라는 표기도 가끔 보이는데, 이 역시 표준어가 아니다. '애초'만이 표준어이며, 나머지는 북한어이거나 일부 지방의 방언이다. 따라서 '애저녁에, 애전에, 애진에' 등은 사투리를 살려 써야 할 상황이 아니면 "끝까지 해낼 각오가 없으면 애초에 시작하지 마라" "그 일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었다"처럼 '애초에' '애초부터'로 표기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46
321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94
321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96
3214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00
3213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01
3212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01
3211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01
3210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01
3209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01
3208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02
3207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02
320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03
320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03
320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04
3203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06
3202 ○○노조 風文 2022.12.26 1407
3201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12
3200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14
319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14
3198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6
3197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17
3196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18
319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