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5.02 14:33

개고기 수육

조회 수 1166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개고기 수육


예년과 달리 올해는 더위가 유난히 일찍 찾아왔다. 초복이 아직 멀었는데도 '보신탕집'에는 손님의 발길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예부터 땀을 많이 흘려 허약해진 몸에 영양을 보충해 주는 여름 보양식으로 보신탕이 최고로 꼽히기 때문이다.

보신탕집에 가면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인 보신탕(개장국)뿐 아니라 개고기 무침과 개고기 수육 등이 있다. 그런데 '개고기 수육'이란 표기는 현행 국어사전의 뜻풀이로 보면 잘못이다. '삶은 개고기' 정도로 표현해야 옳다. '돼지고기 수육'도 마찬가지다. '삶은 돼지고기'라고 써야 한다.

사전에서는 '수육←숙육(熟肉)'을 '삶아 익힌 쇠고기'라고 풀이하고 있다. 쇠고기에만 '수육'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뜻풀이는 언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돼지고기 요리 중에 '돼지 머리 편육'이 있다. '편육'이 '얇게 저민 수육'을 일컫는다면 '돼지 머리 편육'도 잘못이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 번 사전에서 '수육'의 뜻풀이를 '삶아내어 물기를 뺀 고기'로 수정한다고 한다.

삶은 돼지고기를 김치 등과 함께 먹는 '보쌈'의 뜻풀이도 이해하기 어렵다. '삶아서 뼈를 추려 낸 소, 돼지 따위의 머리 고기를 보에 싸서 무거운 것으로 눌러 단단하게 만든 뒤 썰어서 먹는 음식'이라고 했는데 이 또한 언어 현실과 괴리가 있다. 이것 역시 보완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36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42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19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83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88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42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4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5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8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9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99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34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44
»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65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48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87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5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91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79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20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6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58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