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4.23 11:47

유월, 육월, 오뉴월

조회 수 1380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유월, 육월, 오뉴월

어느덧 유월도 중순을 넘어 여름으로 성큼 다가서고 있다. 벌써 한낮의 기온은 30도를 웃돌고 있다. 음력으로도 '오뉴월 더위에는 염소 뿔이 물러 빠진다'는 오뉴월로 접어들었다.

'오뉴월'은 오월과 유월을 함께 뜻하며, 여름 한철을 일컫는 말이다. 6월을 일월.삼월.팔월처럼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육월'이나 '오육월'로 쓰면 어떻게 될까. 한자어는 본음으로도, 속음으로도 발음한다. 속음은 본음과 달리 일반 사회에서 널리 쓰는 음을 뜻한다. '육월(六月)'을 '유월'로, '오육월'을 '오뉴월'로 읽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 경우 받침이 없는 것이 발음하기 쉽기 때문이다.

음을 매끄럽게 한다는 의미에서 이런 변화를 '활음조(滑音調)' 현상이라 한다. 인접한 음소들 사이에서 모음조화나 자음동화,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한 매개 자음 삽입 등의 형태로 활음조 현상이 일어난다.

'유월'과 마찬가지로 '십월(十月)'은 '시월'로 읽는다. 보리(菩提), 보시(布施), 도량(道場: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 초파일(初八日), 모과(木瓜), 허락(許諾), 곤란(困難), 희로애락(喜怒哀樂)도 본음과 달리 소리 나는 것들이다.

맞춤법은 '유월'과 같이 속음으로 읽히는 것은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는 규정하고 있어 '육월'이라 쓰면 안 된다. '오뉴월'을 '오육월', '시월'을 '십월', '초파일'을 '초팔일'로 써도 틀린 것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96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59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91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576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37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76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11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80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266
3120 바람의종 2007.09.22 9098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75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417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690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361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852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394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620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36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396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839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86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403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