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07 14:59

붙이다, 부치다

조회 수 159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붙이다, 부치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품격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건물마다 난삽하게 매달린 간판을 정리하고 지저분한 현수막을 제거하거나 각종 표지판을 정비하는 등 지역 주민의 쾌적한 생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중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처럼 어떤 일을 작심하여 세차게 밀고 나가는 모양을 표현할 때 은유적으로 '걷어붙이다'란 말을 쓴다. 하지만 발음상의 이유인지 "옷 소매를 걷어부치는 버릇이 있어 금방 늘어나 버렸다" "회사를 살리고 사업장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사가 팔을 걷어부치기로 했다"처럼 '걷어부치다'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붙이다'는 '붙다'의 사동형으로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한다는 기본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걷어붙이다'의 경우 소매를 흘러내리지 않도록 단단히 접어 올린 모양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주체의 마음가짐이나 자세까지 의미가 확장된 듯하다. '붙이다'와 '부치다' 중 어느 표현을 써야 할지 모호할 때는 '붙이다' 또는 '부치다'가 올 자리에 우선 '붙게 하다'는 말을 넣어보면 알 수 있다. 의미 전달이 되면 '붙이다'가 맞는 표현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대개 '부치다'가 맞는 표현이다. 가령 '힘에 붙이다'는 떨어지지 않도록 무언가를 갖다 붙인다는 의미가 아니므로 '부치다'를 써야 한다. 편지.회의 등도 '보내다' '넘기어 맡기다'는 뜻이므로 '편지를 부치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등으로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1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541
3282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37
3281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39
328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240
3279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0
3278 까치발 風文 2023.11.20 1242
3277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43
3276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44
3275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45
327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45
3273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47
3272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48
3271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49
3270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51
3269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53
3268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54
3267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55
326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56
326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57
3264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59
3263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60
3262 순직 風文 2022.02.01 1261
326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