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8 18:19

진력나다, 진력내다

조회 수 1340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진력나다, 진력내다

한 장군이 자기 병졸 가운데 공처가가 얼마나 많은지 보려고 "아내가 무서운 자는 붉은 기 아래, 그렇지 않은 자는 푸른 기 아래 서라"고 하자 10만 대군 가운데 단 한 사내가 푸른 기를 지켰는데, 그 까닭이 "마누라가 사람 많은 곳엔 가지 말라고 했기 때문"이란다. 유몽인이 지은 '어우야담'에 나오는 이야기다. 글이 비록 길다 하더라도 이런 재미있는 이야기로 계속된다면 읽는 사람이 진력내지 않고 빨려 들어갈 것이다. 

 '진력(盡力)'은 '있는 힘을 다함. 또는 낼 수 있는 모든 힘'이란 뜻이다. 이 '진력'에 '-하다'가 붙으면 '있는 힘을 다하다'는 뜻의 동사가 된다. "그는 일생을 아프리카에서 전도 사업에 진력했다" "국회는 회기 내 국민연금법안, 사학법안, 로스쿨법안 등 주요 쟁점 법안을 처리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처럼 사용된다.

이 '진력'에 '-나다'와 '-내다'가 붙으면 다른 뜻이 된다. '진력나다'는 '오랫동안 또는 여러 번 해 힘이 다 빠지고 싫증이 나다', '진력내다'는 '오랫동안 또는 여러 번 해 싫증을 내다'의 뜻이다. "이 정도의 가벼운 시달림에는 나도 이젠 숙달돼 진력날 것도 없다" "마누라의 계속되는 잔소리에 남편은 서서히 진력내기 시작했다"와 같이 쓰인다.

과거에는 이런 의미로 '질력나다[내다]'가 사용됐으나 지금은 '진력나다[내다]'가 바른 말이다. 비슷한 뜻의 말로는 '질리다' '신물(이) 나다' '넌더리(가) 나다'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48
310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97
3105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7
310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686
3103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677
3102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68
310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636
3100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596
309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582
309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549
3097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548
3096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25
3095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522
3094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516
3093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13
3092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3091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501
3090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98
3089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492
3088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88
3087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86
3086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84
3085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