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6 14:55

지천에 폈다

조회 수 1045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천에 폈다

봄은 마음에서 먼저 시작된다. 개나리가 담장을 기웃거리고 진달래가 산허리를 수줍게 감싸기 전에 마음은 황망히 음습한 겨울을 밀어내고 봄맞이 채비를 서두른다. 그러나 올해는 봄꽃이 한발 앞서 계절을 알려 왔다. 남부 지방은 물론 설악산에도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었다는 소식이다. '지천'은 '매우 흔하다'는 뜻으로 "마을 뒷산에는 갖가지 들꽃과 봄나물이 지천이다" "예년보다 한 달가량 일찍 설악산 국립공원에 현호색.노루귀 등이 지천으로 피어 등산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와 같이 쓰인다. 주로 서술격조사 '-이다'나 부사격조사 '-(으)로'를 붙여 '지천이다' '지천으로'의 꼴로 사용하는데 이를 '지천에'로 잘못 표현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봄이면 진달래와 아카시아 꽃이 지천에 피어 마을은 온통 달콤한 꽃향기로 가득 찼다" "옛사람들은 봄이 되면 지천에 깔린 나물을 뜯어 반찬을 해 먹었다" "길가의 화단 등 지천에 널린 게 꽃이건만 꽃을 찾아 나선 상춘객들로 고속도로는 연일 붐빈다"처럼 쓰고 있지만 '지천으로'로 고쳐야 한다. '지천'의 한자어를 '땅과 하늘(地天)'로 생각해 '곳곳에' 정도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나 '지천(至賤)'은 사물이 여기저기 아주 흔하게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으로'를 붙여 쓰는 게 자연스럽다. "지리산 자락에 지천으로 핀 산수유 꽃이 화사한 봄 빛깔을 뽐내기 시작했다"와 같이 표현하거나 아예 쉬운 말로 풀어 쓰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09
2974 삐라 바람의종 2008.02.15 5312
2973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24
2972 니가, 지가 바람의종 2008.11.18 5328
2971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1
297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60
2969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64
2968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67
2967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1
296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38
2965 바람의종 2008.09.06 5440
2964 사랑금이 file 바람의종 2009.07.14 5456
2963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70
2962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78
2961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1
2960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85
2959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490
2958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91
2957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498
2956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499
2955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04
2954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506
2953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