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79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초생달이 지고 밤이 으슥해진 뒤에야 그는 비로서 길을 나섰다."

이 문장에서 잘못 사용된 단어들을 찾아보자.

우선 '초생달'은 '초승달'로 쓰는 게 맞다. '초승달'은 초승(음력으로 그달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간)에 뜨는 달로 초저녁에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초승'이란 말이 '初生'이란 한자에서 나왔으니 사실 '초생달'이라고 쓸 근거는 있다고 할 수 있지만 현재는 '초승달'만 인정되고 있다. 북한어에서는 '초생달'을 사용한다. 초승달은 각월(却月).세월(細月).신월(新月).초월(初月).현월(弦月)이라고도 한다.

초승달은 초저녁에만 뜨므로 달이 지고 나면 밤이 차츰 깊어진다. 밤이 꽤 깊어진 것을 나타낼 때 "몇 시간을 앉아 있었지만 고기는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다. 밤이 으슥할 무렵 드디어 낚싯대 끝이 휙 구부러지며 큼직한 놈이 한 마리 걸려들었다"에서처럼 '으슥하다'를 쓰는 걸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때는 '밤이 이슥할 무렵'처럼 '이슥하다'를 쓰는 게 바르다. '으슥하다'는 '무서움을 느낄 만큼 깊숙하고 후미지다' 라는 뜻으로 '집으로 돌아가려면 으슥한 골목길을 지나가야만 했다"처럼 사용된다.

끝 부분의 '비로서'도 자주 틀리는 단어인데 '비로소'로 쓰는 게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09
3348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089
3347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20
3346 우려먹다(울궈먹다) 바람의종 2007.03.03 14028
3345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154
3344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9978
3343 이녁 바람의종 2007.03.15 14008
3342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510
3341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99
3340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08
3339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36
3338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062
333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50
3336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619
3335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690
3334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36
3333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147
3332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69
3331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7
3330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42
3329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84
332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78
3327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