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3

暴 (포와 폭)

조회 수 1532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暴 (포와 폭)

'暴'는 '포'와 '폭'으로 읽힌다. 궁금한 점은 어떤 때 '포'로 읽고, 어떤 때 '폭'으로 읽느냐다.

"조선조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은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선비들을 죽였으며, 폭군(暴君)으로 지탄받은 임금이다." "아버지는 자기 아들을 때린, 아들의 친구를 보자마자 난폭(亂暴)하게 주먹을 휘둘렀다." "교도소 재소자들이 폭동(暴動)을 일으켰다."

"포악(暴惡)한 군주 밑에서 백성들의 고통은 날이 갈수록 더해 갔다." "권력을 잡은 자가 횡포(橫暴)를 부리면 국민의 고통은 끝이 없는 것이오." "일본의 지배가 워낙 야만적이고 흉포(凶暴)했으므로, 조선의 백성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는 특히 더 큰 손상을 입었다."

"국제유가 폭등(暴騰)은 세계 자본주의 경제 구조에 일대 혼란을 야기했다." "우리는 어젯밤 폭음(暴飮)함으로써 분을 삭일 수밖에 없었다." "간밤에 내린 폭설(暴雪)로 교통이 두절된 곳이 생겼다."

'暴'의 음과 훈은 '사나울 포/폭, 햇빛 쬘 폭'이다. 그 뜻을 자전에서 찾아보면 '사납다(포) ; 모질다, 모질게 굴다(포) ; 쬐다(폭) ; 나타내다(폭) ; 갑자기, 급작스럽게(폭)' 등으로 나와 있다. '暴'는 폭군(暴君).폭도(暴徒).폭력(暴力).폭행(暴行).난폭(亂暴) 등 물리적인 힘을 불법적으로 사용할 경우 '폭'으로, 포리(暴吏).포악(暴惡).포학(暴虐).광포(狂暴).횡포(橫暴).흉포(凶暴)처럼 거칠고 사나운 성격 또는 사람을 해치거나 모질게 구는 기질을 뜻하는 단어에서는 '포'로, 폭등(暴騰).폭락(暴落).폭음(暴飮).폭우(暴雨)처럼 급작스러운 변화를 뜻하는 낱말에서는 '폭'으로 소리 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47
3216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410
321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10
3214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11
3213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12
3212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12
321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12
3210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12
3209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13
320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13
3207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14
320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17
320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9
3204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20
3203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20
3202 ○○노조 風文 2022.12.26 1420
320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23
3200 ‘~스런’ 風文 2023.12.29 1426
3199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9
3198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31
3197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31
3196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31
3195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