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7

유해, 유골

조회 수 14367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해, 유골

"난징대학살 기념관에는 학살 당시의 유골이 묻혀 있는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육군본부와 육군 을지부대가 6.25전쟁 당시 전사한 장병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추진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유골(遺骨)'을 '주검을 태우고 남은 뼈. 또는 무덤 속에서 나온 뼈'로, '유해(遺骸)'는 '유골'과 동의어로 풀이해 놓았다. 骸는 '뼈 해'자다. 따라서 '유해'와 '유골'은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骨과 骸는 좀 다르다. 자전(字典)을 보면 骸에는 '해골' '(사람의) 뼈' 외에 '몸, 신체'라는 뜻이 더 있다. 따라서 '유해'를 '유골'의 뜻 외에 '주검.시신'의 뜻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현실에서 '유해'가 '시신'보다 격식을 차린 말로 쓰인다는 점도 '유해'가 '유골'의 뜻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중국 서부의 한 사막에는, 서양인의 모습을 한 키가 크고 머리칼이 붉은 사람들의 유해가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에서 '유해'를 '유골'로 바꿀 수 없다는 점도 이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유골'과 '유해'를 구분해야 할 경우, '유골'은 '죽은 사람의 남은 뼈'나 '화장하고 남은 뼈'를, '유해'는 육탈(肉脫)해 뼈만 있는 게 아니라 죽은 사람의 살이 남아있는 시신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9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169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03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74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64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91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60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82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42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11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5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7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43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3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700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76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05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73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551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15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78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4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